학술논문
오기가미 나오코 영화에 나타난 현대인의 다양한 욕망 연구-영화 ‘카모메식당’(2006), ‘안경’(2007)을 중심으로-
이용수 7
- 영문명
- Study on Contemporary People’s Desires in Ogigami Naoko’s Films- With on ‘Kamome Dinner’(2006), ‘Glasses’(2007)-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정용승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27호, 281~30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gigami Naoko takes center stage internationally as she directed (2004), (2006), (2007), (2010), (2012) and so on. Her movies are known as ‘Feminism Film’, ‘Slow Life Movie’, and ‘Healing Movie’. The reason is because she directed with the narratives that give audience the consolation, rest and healing about ode to slow life in fast modern society with women as main characters in many of her movies. The study shows that it seems to be limiting the variety of contemporary meaning and values of her films if the diverse periodic,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s and expressions of her films are only analyzed by these categories that are known to audience. Ogigami Naoko reflects contemporary people’s desires in modern society with her film’s and . Especially, she expresses with her films’ characters, narratives, filmic techniques and expressions about the people’s desires that are the inherent part about the true purpose of human existence and the meaning of happy life as contemporary people. In this sense, and will be highlighted along with the study about modern people’s desires and valuable to study social aspect and contemporary characteristic as a noticeable contemporary movie.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적 리얼리티 구현을 위한 사운드디자인 연구-영화<혜경궁 홍씨>를 중심으로-
- UHD HDR 에서의 렌즈 선택이 색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BT.709, BT.2020 비교 중심으로-
- 색감의 대비를 활용한 심정성 표현 기법 연구-영화 <문라이트>의 미장센 분석을 중심으로-
- HDR Technology’s Characteristics and it’s Media Market Potential in Korea
- 차세대 방송콘텐츠 제작인력 양성방안
- 토드 헤인즈의 영화 <캐롤>에 나타난 영화적 연출 전략 연구
- 프레임의 상징적 이미지를 통한 캐릭터의 심리묘사와 화면구성의 효과적인 방안-영화 <몬스터 볼>을 중심으로-
- 텔레비전 드라마의 서사구조와 시청률 변화 추이의 관련성 분석-<낭만닥터 김사부>를 중심으로-
- 영화 <곡성>의 좀비영화코드 연구
- 카메라 앵글과 Perspective로 바라본 봉준호 영화 연구-영화 <살인의 추억>, <마더>, <설국열차>를 중심으로-
-
The Transformation and The Mechanical Special Effects of Monolith in Film <2001: ASpace Odyssey> and
- 영상의 화면비 변화에 따른 인식 변화 분석-스탠다드부터 스크린-X까지-
- 배우의 캐릭터 구축에 대한 방법론 연구
- 뮤지컬 영화 <라라랜드>의 테마음악 특성 연구-테마곡 “City of Stars”를 중심으로-
- 스티브 맥퀀의 작품과 구조영화의 관계 연구
- 오기가미 나오코 영화에 나타난 현대인의 다양한 욕망 연구-영화 ‘카모메식당’(2006), ‘안경’(2007)을 중심으로-
- 홍상수 영화에서 나타난 롱 테이크 미학의 변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TV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의 성공 요인 분석-대본과 그 장르를 중심으로 -
- 소통을 위한 영화의 형식적 표현 연구-영화 <증인>을 중심으로 -
- 영화 <서치>의 연출 분석-파운드 푸티지와 전통적인 장르의 융합을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