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프레임의 상징적 이미지를 통한 캐릭터의 심리묘사와 화면구성의 효과적인 방안-영화 <몬스터 볼>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Effective Representation of the Character’s Psychological Depiction and Screen Composition through the Symbolic Image of the Frame-Focused on “Moster Boll”-
발행기관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저자명
진승현
간행물 정보
『영상기술연구』제27호, 113~128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A movie is a collection of moving images. And the image consists of a one-dimensional region to be seen and a three-dimensional region to which a perspective is applied. However, the symbolic image outside the domain can be dared to be a four-dimensional region or a psychological region of a movie image. The visible psychological realm is a valuable process and a result that presents the shortcut of the art pursued by the movie image. In this paper, we can find out the result of analyzing and researching the reexamination of the psychological first person experience area. Also, if we can obtain arguments that can be applied to image production and analysis, we can find out very public utilitarianity.

영문 초록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본론
Ⅲ.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진승현. (2017).프레임의 상징적 이미지를 통한 캐릭터의 심리묘사와 화면구성의 효과적인 방안-영화 <몬스터 볼>을 중심으로-. 영상기술연구, (), 113-128

MLA

진승현. "프레임의 상징적 이미지를 통한 캐릭터의 심리묘사와 화면구성의 효과적인 방안-영화 <몬스터 볼>을 중심으로-." 영상기술연구, (2017): 113-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