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Transformation and The Mechanical Special Effects of Monolith in Film <2001: ASpace Odyssey> and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Kim, Hyun-Sung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27호, 197~21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스탠리 큐브릭 감독은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에서 모노리스라는 검고 거대한 단단한 형이상학적 존재를 통해 인간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했다. 영화에서 그 질문들은 모노리스와 다양한 접속의 이미지로 표기되지만 결국 하나의 물음이다. 그건 ‘우주란 무엇인가?’와 ‘나는 누구인가?’라는 데카르트적 존재론의 질문이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은 수십 년 뒤, 심리주의 적 SF영화인 <인터스텔라>를 연출했다. 이 영화에서 놀란 감독은 큐브릭의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에서 던진 모노리스의 존재론을 다시 재해석 하면서 이번에는 타스라는 새로운 존재로 재 질문 한다.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모노리스는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인터스텔라>에서 특수효과와 CG에 의해 하나의 새로운 캐릭터로 진화한다. 모노리스에 HAL의 인공지능을 더하고 여기에 스타워즈의 안드로이드 로봇처럼 말하고 움직이게 하고자 했던 놀란 감독의 상상은 새로운 기계적인 특수효과 기술에 의해서 탄생된다. 새롭게 재해석된 타스는 이전에 절대 움직이지 않고 신비로운 힘을 뿜어냈던 모노리스에 비해 훨씬 인간적이다. 타스는 마치 인간처럼 다차원의 모습으로 걷고, 뛰고, 달리고 심지어 팔을 이용하여 인간을 들어올린다. 그렇지만 이렇게 새로운 특수효과와 CG로 발전시킨 크리스토퍼 놀란의 타스가 큐브릭의 모노리스보다 더 흥미롭고 새로운 캐릭터인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든다. 모노리스의 모습이 특수효과의 기술에 의해 진화하면서 대단히 흥미로운 시각적 요소들을 보여주었고 마치 하나의 인간 캐릭터처럼 살아 있는 듯 표현해 냈지만, 큐브릭이 창조해낸 지성의 주체로서 인간이라는 존재의 정체성과 그 비밀까지 간직했던 모노리스에 비해 심리적으로는 단순화했다.
큐브릭 감독과 놀란 감독의 두 SF 영화들은 근대적 과학과 기술 지식으로는 절대 이해하기 어려운 환상과 초현실의 영역을 다뤘다. 이들의 영화 내러티브는 이미지의 상징을 넘어서 연기자의 심리와 관객의 환영을 다층적으로 구조화하는 매우 복잡한 커뮤니케이션을 스타일화 했다. 이런 점들이 이들이 만들었던 영화에 지금까지 다층적 의미를 부여하고 재해석하게 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Introduction
Ⅱ. Directing aesthetics and rhetoric of Stanley Kubrick and Christopher Nolan
Ⅲ. The Transformation and Revisiting of Monolith
Ⅳ. The Mechanical Effects and Functions of TARS
Ⅴ.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적 리얼리티 구현을 위한 사운드디자인 연구-영화<혜경궁 홍씨>를 중심으로-
- UHD HDR 에서의 렌즈 선택이 색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BT.709, BT.2020 비교 중심으로-
- 색감의 대비를 활용한 심정성 표현 기법 연구-영화 <문라이트>의 미장센 분석을 중심으로-
- HDR Technology’s Characteristics and it’s Media Market Potential in Korea
- 차세대 방송콘텐츠 제작인력 양성방안
- 토드 헤인즈의 영화 <캐롤>에 나타난 영화적 연출 전략 연구
- 프레임의 상징적 이미지를 통한 캐릭터의 심리묘사와 화면구성의 효과적인 방안-영화 <몬스터 볼>을 중심으로-
- 텔레비전 드라마의 서사구조와 시청률 변화 추이의 관련성 분석-<낭만닥터 김사부>를 중심으로-
- 영화 <곡성>의 좀비영화코드 연구
- 카메라 앵글과 Perspective로 바라본 봉준호 영화 연구-영화 <살인의 추억>, <마더>, <설국열차>를 중심으로-
-
The Transformation and The Mechanical Special Effects of Monolith in Film <2001: ASpace Odyssey> and
- 영상의 화면비 변화에 따른 인식 변화 분석-스탠다드부터 스크린-X까지-
- 배우의 캐릭터 구축에 대한 방법론 연구
- 뮤지컬 영화 <라라랜드>의 테마음악 특성 연구-테마곡 “City of Stars”를 중심으로-
- 스티브 맥퀀의 작품과 구조영화의 관계 연구
- 오기가미 나오코 영화에 나타난 현대인의 다양한 욕망 연구-영화 ‘카모메식당’(2006), ‘안경’(2007)을 중심으로-
- 홍상수 영화에서 나타난 롱 테이크 미학의 변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TV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의 성공 요인 분석-대본과 그 장르를 중심으로 -
- 소통을 위한 영화의 형식적 표현 연구-영화 <증인>을 중심으로 -
- 영화 <서치>의 연출 분석-파운드 푸티지와 전통적인 장르의 융합을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