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도 시각장애인의 삶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Life Experiences of Adults with Acquired Visual Impairments
- 발행기관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 저자명
- 정만석 이선화
- 간행물 정보
- 『시각장애연구』제41권 제3호, 45~6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비장애인으로 살아가 성인기에 시각장애를 갖게 된 연구 참여자들이 상실의 위기를 극복하고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재구성해 나가는 과정의 본질과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성인기에 중도시각장애인이 된 성인 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시각상실의 충격에서 시작하여 가족 및 친구관계의 변화, 당사자 사이에서 찾은 소속감, 직업 변화와 새로운 기술 습득, 종교적 믿음을 통한 의미 부여, 시각장애의 긍정적 재해석, 그리고 미래에 대한 희망과 계획을 통해 삶을 재구성해 나갔다. 결론: 중도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시각 상실이라는 트라우마에서 시작하여 과거 정안인으로서의 경험을 자원으로 활용하며 삶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중도 시각장애인을 위한 지원 서비스와 정책 개발에 있어 단순한 기능적 재활을 넘어서 사회적 관계 형성과 삶의 의미 발견을 촉진하는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in-depth the essence and meaning of the process through which adults, who acquired visual impairment in adulthood after living as sighted individuals overcome the crisis of loss and proactively reconstruct their lives. Methods: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appli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adults(one man and two women) who became visually impaired in adulthood. Results: Beginning with the shock of vision loss, participants reconstructed their lives through changes in family and friendship relationships, a sense of belonging found among peers with similar experiences, career transitions and the acquisition of new skills, the attribution of meaning through religious faith, a positive reinterpretation of visual impairment, and hopes and plans for the future. Conclusion: By analyzing the process through which adults with acquired visual impairment reconstruct their lives-starting from the trauma of vision loss and drawing on their prior experiences al sighted individuals-this study underscores the need for integrated approaches in support services and policy development. Such approaches should move beyond mere functional rehabilitation to foster the form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and the discovery of life’s meaning.
목차
I.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토픽모델링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농업인력개발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중장년층 업스킬링 및 리스킬링 정책의 효과성 비교 연구: OECD 국가 패널 데이터 분석
- 인증코치의 셀프리더십,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 경력몰입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