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불교 경전의 문학성과 명상적 치유효과 연구: 『법화경』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literary features and meditative healing effects of Buddhist scriptures: Focusing on the Lotus Sutra
발행기관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저자명
김선화
간행물 정보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34권, 45~58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법화경』을 중심으로 경전이 지닌 문학적 특성과 명상적 가치를 통합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경전 읽기가 수행적 독서이자 심리적 치유의 가능성을 지닌 수행법임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불교 경전은 비유와 상징, 시적 언어와 서사 구조 등을 통해 독자의 정서에 깊이호소하며, 이는 정서적 환기, 감정의 자각, 자아 성찰 및 존재에 대한 통찰을 유도하는 문학적 기제로 작용한다. 본 논문은 경전 읽기 행위가마음챙김(mindfulness)의 주요 요소와 구조적으로 유사하며, 수행자가 현재 순간에 집중하고 내면의 감정을 수용함으로써 심신의 안정을추구하는 명상 수행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고찰하였다. 특히 경전 읽기는 집중명상과 통찰명상의 특성을 아우르며, 정서적 치유와 자기조절, 자비심 확장을 촉진할 수 있는 심리적 기제를 포함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경전 읽기가 현대 사회의 교육, 상담, 자기계발 등의 영역에서도 적용 가능한 내적 수행 방식임을 제안하였다. 다만 본 논문은 이론적 고찰에 주력하고 있어, 실증적 자료에 기반한 효과 검증과 독자 집단에 따른 적용 차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불교 경전을 문학성과 명상수행의 통합적 관점에서 해석함으로써, 응용불교의 확장 가능성과 함께 정신건강 및 영성교육 분야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reading Buddhist scriptures as both a contemplative practice and a form of psychological healing by examining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meditative value of the Lotus Sutra. Buddhist scriptures employ metaphors, symbols, poetic language, and narrative structures to appeal deeply to the reader’s emotions. These literary devices function as mechanisms for emotional arousal, affective awareness, self-reflection, and existential insight. The paper argues that reading scriptures parallels the structural features of mindfulness practice, enabling practitioners to focus on the present moment and accept internal emotions, thereby promoting mental and physical well-being. Scriptural reading encompasses both concentrative and insight meditation, incorporating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facilitate emotional healing, self-regulation, and the cultivation of compassion. Based on this perspective, the study proposes that scriptural reading may serve as a meaningful contemplative practice applicable in various domains of modern life, including education, counseling, and personal development. However, as the research primarily focuses on theoretical exploration, future studies should include empirical valid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across different reader groups. Despit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new interpretation of Buddhist scriptures by examining them through an integrated perspective of literary expression and meditative practice, thereby suggesting the potential expansion of Applied Buddhism into the fields of mental health and spiritual education.

목차

I. 서론
II. 불교 경전의 문학적 특성
III. 경전 읽기의 명상적 성격
IV. 경전 읽기의 현대적 적용 가능성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화. (2025).불교 경전의 문학성과 명상적 치유효과 연구: 『법화경』을 중심으로.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 45-58

MLA

김선화. "불교 경전의 문학성과 명상적 치유효과 연구: 『법화경』을 중심으로."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2025): 45-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