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진로스트레스가 학업지연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개인기준 완벽주의의 다중병렬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Parallel multiple mediation effects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oriented perfectionism
- 발행기관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 저자명
- 정소연 안세윤
- 간행물 정보
-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34권, 1~1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진로 스트레스가 학업 지연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 과정에서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개인 기준 완벽주의가 가지는 심리적매커니즘을 병렬 다중매개 모형을 통해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이 자신의 스트레스와 행동 패턴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반복적인 과제 미루기나 자기 비난 같은 비효율적 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현실적이고 지속 가능한 학업 태도를 형성하는데 방향성을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온라인 커뮤니티를 활용하여 국내 대학생 195명을 표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PROCEDD Macro 4.2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 스트레스는 완벽주의, 개인 기준 완벽주의, 학업 지연 행동과 모두 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병렬 다중 매개효과 검증 결과, 평가 염려 완벽주의는 진로 스트레스와 학업 지연과의 관계를 정적인 방향으로 매개한 반면, 개인 기준 완벽주의는 부적인 방향으로 매개하여 상반된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두 완벽주의 유형이 학업 지연 행동에 미치는 경로가 서로 상쇄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함께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er-related stres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to explore the underlying psychological mechanisms of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and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through a parallel multiple mediation model. By doing so, the study sought to provide insights for university students to better understand the impact of their stress and behavioral patterns on academic performance, helping them move away from inefficient behaviors such as repeated task delay or self-criticism and to develop more realistic and sustainable academic habits. A total of 195 Korean university students were recruited through online communiti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PROCESS Macro 4.2.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areer-related stres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th types of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related stress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n a positive direction, whereas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showed a negative mediating effect, indicating that the two types of perfectionism may offset each other in their influence on academic procrastination. Finally, the study discussed its limitations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