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상관법이 중년 남성의 우울정서에 미치는 영향: 단일사례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reflective image meditation on depressive affect in middle-aged men: A single-case study
- 발행기관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 저자명
- 장유리
- 간행물 정보
-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34권, 27~4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울정서를 지닌 중년 남성의 우울경험을 탐색하고 영상관법 기반 명상상담 개입이 우울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단일사례연구를통해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울감을 호소하는 중년 남성의 참여자에게 마음현상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고 미해결된 문제를 자각함은 물론 명료화하여 수용하게 하는 영상관법을 적용한 명상상담 8회기 프로그램으로 상담을 진행하였으며 상담사례 분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의 우울정서는 ‘갇혀있는 것 같다’ 거나 마치 ‘구속복을 입은 것 같다’고 표현하며 깊은 고립감을 호소했다. 그의 사고는 ‘앞으로 나아갈 수 없을 것 같다’는 반추적 생각에 사로잡혀 ‘마음의 브레이크’가 걸린 듯 나아가지 못하는 답답함을 드러냈다. 또한 대인관계에서는 자신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억압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소화 불량과 같은 신체화 반응으로까지 발현되었다. 둘째, 이러한 우울감은 어린 시절 정서적, 신체적 돌봄의 부재로 인한 외로움과 두려움에서 비롯되어진 유기불안과 오랫동안 폭력으로부터 보호받지 못한 경험들로 인해 타인에게 버려질까 두려워 표현과 요구를 잘 하지 못하는 데에서 오는 답답함이 지속되어져현재의 우울정서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영상관법 개입 후 연구참여자의 우울정서는 유의미하게 변화하였다. 억압되었던감정들을 안전하게 직면하고 자기 공감과 위로를 통해 스스로를 돌보기 시작했으며 그 결과 사전 우울 척도 점수가 20점(중증우울)에서 사후6점(정상 범위)으로 확연히 감소하는 양적 호전을 보였다. 또한 무력감에서 벗어나 자신이 보호받을 권리를 새롭게 인식하고 감정 표현의 억압에서 벗어나 후련함을 경험하는 등 질적인 변화도 이끌어 냈다. 넷째, 연구참여자는 우울 정서를 피하지 않고 수용하며 일상에서 명상을 실천하고, 경제 활동을 위한 구체적인 행동 계획을 수립하는 등의 실천적 대안을 모색하는 변화를 보였다. 특히 수립한 계획을 생각을 배제하고행동을 먼저 해 보기로 결심하였다. 본 연구는 영상관법이 중년 남성이 가지는 우울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제시하며, 나아가 우울정서를 지닌 중년 남성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 전략으로서 영상관법의 잠재적 역할을 밝혀내는 것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depression experience of a middle-aged male with depressive affect and aims to identify the impact of a Reflective Image Meditation (RIM)-based meditation counseling intervention on his emotional state through a single-case study. To this end, an 8-session meditation counseling program, incorporating RIM to help the participant observe mental phenomena as they are, recognize, clarify, and accept unresolved issues, was conducted with a middle-aged male client reporting depress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unseling case.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 expressed his depressive affect by stating he felt ‘trapped’ or ‘like he was wearing a straitjacket,’ conveying deep feelings of isolation. His thoughts were consumed by ruminations like ‘I won’t be able to move forward,’ likening it to a ‘mental brake’ that left him feeling stifled and unable to progress. Furthermor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e tended to suppress his emotions rather than expressing them directly, which manifested as psychosomatic reactions such as indigestion. Second, this depression was found to stem from feelings of loneliness and fear, originating from the lack of emotional and physical care in his childhood, leading to abandonment anxiety. The prolonged experience of not being protected from violence resulted in a fear of abandonment by others, causing him to hesitate in expressing needs and making demands. This persistent feeling of suffocation was identified as contributing to his current depressive state. Third, after the RIM intervention, the participant’s depressive affect showed significant change. He began to safely confront his repressed emotions and care for himself through self-empathy and solace. Consequently, his pre-intervention depression scale (BDI) score dramatically decreased from 20 (severe depression) to 6 (normal range) post-intervention, indicating a clear quantitative improvement. Additionally, qualitative changes were observed, such as overcoming helplessness, newly recognizing his right to be protected, and experiencing relief from the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Fourth, the participant demonstrated changes in seeking practical alternatives, including accepting his depressive affect rather than avoiding it, practicing daily meditation, and formulating concrete action plans for economic activities. Notably, he resolved to prioritize action over overthinking when implementing these plans. This study presents a concrete case illustrating how Reflective Image Meditation impacted the depressive affect of a middle-aged male participant. Furthermore, it holds significance by clarifying the potential role of Reflective Image Meditation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y for middle-aged men experiencing depressive affect.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VI.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