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신입생을 위한 실습형 인체 골격 해부학 교안 개발 및 적용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Hands-On Human Skeletal Anatomy Module for First-Year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표준인증안전학회
- 저자명
- 염호준 박상수
- 간행물 정보
- 『표준인증안전학회지』제15권 제3호, 111~12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보건의료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인체 구조에 대한 기초 해부학 교육이 필수적이나, 신입생들의 선이해도는 낮은 편이다. 해부학 용어의 복잡성과 다언어 체계는 학습의 큰 장벽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흥미를 유도하고 학습 동기를 강화할 수 있는 실습 중심 교육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보건의료 특성화대학의 의료공학 전공 1학년 신입생 32명을 대상으로 실습형 해부학 교안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실습에는 실제 크기의 전신 분리 골격 모형(AK130, 인체모형닷컴)을 활용하였으며, 팔과 다리 모형 8세트를 각 조에 배치하여 4인 1조로 실습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관절 부위별 해부학 그림과 표가 포함된 실습지침서를 바탕으로, 골격 구조를 관찰하고 명칭을 유추하며 조별 토론과 검색을 통해 학습을 수행하였다. 학생들은 인체 골격 모형 실습을 통해 해부학 지식을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생소한 해부학 용어와 구조를 실제 모형과 비교하며 명확히 익힐 수 있었고, 팀워크와 학습 동기도 향상되었다. 본 연구로 개발한 교안을 고등학교와 대학교 저학년의 진료 적성 교육 표준 교안으로 제안한다.
영문 초록
Basic anatomical education is essential for training healthcare professionals, but most first-year students have limited prior knowledge. The complexity of anatomical terminology across multiple languages presents a major barrier to learning. Therefore, developing hands-on educational materials that enhance student engagement and motivation is crucial.In this study, a practice-based anatomy curriculum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32 first-year students majoring in Medical Engineering at a specialized health science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practice utilized life-size, disassembled human skeleton models (AK130, Inchemodel.com), and eight sets of arm and leg models were distributed to groups of four for hands-on learning.
Using a practical guide that included anatomical diagrams and tables for each joint region, students observed skeletal structures, inferred anatomical names, and engaged in group discussions and online searches to deepen their understanding. Through this skeletal model practice, students were able to gain a three-dimensional understanding of anatomical knowledge. They clearly identified unfamiliar anatomical terms and structures by comparing them with actual models, which enhanced both teamwork and learning motivation.
Based on the outcomes, this curriculum is proposed as a standard educational guideline for aptitude training in healthcare-related high school and early undergraduate programs.
목차
Ⅰ. 서 론
Ⅱ. 실습 방법
Ⅲ. 실습 교안
IV. 실습 소감 분석 및 고찰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 시대의 기술 표준화와 인권: 중국 New IP와 EU AI 표준화 사례를 중심으로
- KC 인증 면제 이후 금속 장신구 안전관리제도의 공백과 정책 개선 방안
- 영국 AI 거버넌스 전략: 신뢰를 인프라로
- 겨울철 조건에서 아까시나무의 효과적 고사를 위한 제초제 주입 방법의 표준화
- 방사성폐기물 포장·운반·처분용기 KEPIC 표준화 연계방안에 대한 고찰
- 한·중 자율주행차 국가표준의 특징 비교 및 시사점 – 국제표준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ESD 정책 체계화를 위한 인증제도 비교와 표준 기반 혁신 전략
- 주요국의 국가표준과 국제표준 부합성 비교 분석 연구 : 탄소중립 이행 과정에서의 표준 활용 수준 분석
- Investigating the Impact of Deregulation on the Ship’s materials Industry
- 대학 신입생을 위한 실습형 인체 골격 해부학 교안 개발 및 적용
- 국내 원전 해체 대응을 위한 전력산업기술기준(KEPIC) 선원항 평가 기준 수립에 대한 연구
- Exploring Strategic Options on Standards in Relations to Organizational Contexts and Attribute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디지털 시대의 기술 표준화와 인권: 중국 New IP와 EU AI 표준화 사례를 중심으로
- KC 인증 면제 이후 금속 장신구 안전관리제도의 공백과 정책 개선 방안
- 영국 AI 거버넌스 전략: 신뢰를 인프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