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SD 정책 체계화를 위한 인증제도 비교와 표준 기반 혁신 전략
이용수 0
-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of Certification Systems and Standard-Based Innovation Strategies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SD Policies
- 발행기관
- 표준인증안전학회
- 저자명
- 강형빈 박은민 김재영
- 간행물 정보
- 『표준인증안전학회지』제15권 제3호, 14~28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은 지속가능성 관련 의제 해결과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한 핵심 영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교육 전문 국제기구로서 유네스코는 ESD 정책 수립, 연구, 프로그램 인증 등 총괄적 활동을 주관하며, 각국의 국가위원회를 통해 체계적 보급을 지원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유네스코 ESD 공식 프로젝트 인증제를 통해 ESD 실천 프로그램을 선정·인증하며, 참여 기관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지원체계를 제공한다. 또한 UN대학은 전 세계 도시별 1개 기관을 ESD 전문센터인 ‘RCE(Regional Centre of Expertise)’로 인증해 지역 특성과 현안에 기반 한 거버넌스 중심의 ESD 확산을 촉진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 197개의 RCE가 운영 중이며, 국내에서도 인증 수요가 높아져 세종시교육청을 포함한 8개 도시가 운영 중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내 교육기관의 ESD 관심과 인증 참여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교육운영시스템 국제표준인 ISO 21001:2018을 기준으로 UN RCE 도시 인증과 유네스코 ESD 공식프로젝트 인증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각 인증제도의 구조적 요구사항과 운영 특성을 도출하고, 국내 ESD 교육기관이 지역적 유연성을 유지하면서도 국제적 정합성과 표준화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운영체계를 설계할 수 있는 표준 기반 혁신 전략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is vital for addressing sustainability challenges and achieving the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UNESCO, as the UN’s specialized education agency, supports ESD dissemination through policy development, research, and program certification, while the United Nations
University(UNU) designates city-level Regional Centres of Expertise(RCEs) to promote locally tailored ESD initiatives. Korea operates the UNESCO ESD Official Project Certification and eight RCEs, reflecting growing national interest in ESD. This study compares the RCE and UNESCO ESD certification systems using ISO 21001:2018(Educational Organization Management System) to identify structural and operational differences. Based on the analysis, it proposes a standard-based innovation strategy to enhance the international alignment and operational quality of Korean ESD institutions while preserving regional adaptabili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SD 정책 체계화를 위한 인증제도 비교와 표준 기반 혁신 전략
- 디지털 시대의 기술 표준화와 인권: 중국 New IP와 EU AI 표준화 사례를 중심으로
- 한·중 자율주행차 국가표준의 특징 비교 및 시사점 – 국제표준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KC 인증 면제 이후 금속 장신구 안전관리제도의 공백과 정책 개선 방안
- 주요국의 국가표준과 국제표준 부합성 비교 분석 연구 : 탄소중립 이행 과정에서의 표준 활용 수준 분석
- 영국 AI 거버넌스 전략: 신뢰를 인프라로
- Investigating the Impact of Deregulation on the Ship’s materials Industry
- 대학 신입생을 위한 실습형 인체 골격 해부학 교안 개발 및 적용
- 겨울철 조건에서 아까시나무의 효과적 고사를 위한 제초제 주입 방법의 표준화
- 국내 원전 해체 대응을 위한 전력산업기술기준(KEPIC) 선원항 평가 기준 수립에 대한 연구
- 방사성폐기물 포장·운반·처분용기 KEPIC 표준화 연계방안에 대한 고찰
- Exploring Strategic Options on Standards in Relations to Organizational Contexts and Attribute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ESD 정책 체계화를 위한 인증제도 비교와 표준 기반 혁신 전략
- 디지털 시대의 기술 표준화와 인권: 중국 New IP와 EU AI 표준화 사례를 중심으로
- 한·중 자율주행차 국가표준의 특징 비교 및 시사점 – 국제표준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