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스트릿댄스 표현활동의 현황과 교수자 역량 강화방안
이용수 0
- 영문명
- Street Dance as Expressive Activity in the 2022 Korean Curriculum: Current Practice and Directions for Teacher Support Programs
- 발행기관
- 한국실용무용학회
- 저자명
- 차윤미
- 간행물 정보
- 『한국실용무용학회지』제3권 제2호, 90~100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무용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초등 체육과 교육과정 ‘표현’ 영역에 스트릿댄스가 도입된 배경과 교과서 반영, 현장 적용을 분석하였다. 스트릿댄스는 ‘이해-수행-창작-감상’을 통한 창의성·주도성·포용성 함양에 효과적이다. 국내의 교과서 및 지도서는 기본 동작부터 창작·감상까지 단계적 활동을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교사의 실기 역량, 연수 경험, 자료·디지털 인프라, 지역 격차 등 한계가 존재한다. 교수자가 본질을 이해하지 못하면 수업은 단순 모방에 그칠 위험이 크다. 따라서 실기-이론 통합 연수, 표준 지도 매뉴얼과 디지털 자료 보급, 연수 효과성과 지속성, 맞춤형 수업 설계, 교사 네트워크 구축, AI·디지털 기반 교수법 및 융합수업의 강화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background, textbook integration, and field application of street dance in the “Expression” domain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Street dance is effective in fostering creativity, autonomy, and inclusiveness through the stages of “understanding–performance–creation–appreciation.” Domestic textbooks and teaching guides reflect step-by-step activities ranging from basic movements to creation and appreciation. However, limitations remain in teachers’ practical skills, training experience, availability of resources and digital infrastructure, as well as regional disparities. If teachers fail to grasp the essence of street dance, instruction risks being reduced to superficial imitation. Therefore, integrated practice–theory training, dissemination of standardized teaching manuals and digital resources, ensuring the effectiveness and sustainability of training, customized lesson design, teacher networking, and the enhancement of AI- and digital-based pedagogy and cross-curricular integration are requir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스트릿댄스 관련 내용 분석
Ⅳ. 일본 초등 지도서 내 스트릿댄스 관련 내용 분석 및 지도역량 강화 프로그램
Ⅴ. 교수자 역량 강화 및 연수 프로그램 제안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브레이킹 배틀의 놀이적 특성 : 호모루덴스를 중심으로
- 세븐틴 <손오공>안무에 나타난 포메이션 F.S.B의 상징성과 서사 구조 분석
- 실용무용 댄서 되기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스트릿댄스 표현활동의 현황과 교수자 역량 강화방안
- 한국 전통 요소를 차용한 스트릿댄스 작품의 문화적 의미에 관한 고찰
- 실용무용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1990년 – 2024년)
- K-POP 산업에서 백업댄서의 처우 문제와 개선에 관한 연구
- 예비 문화예술교육사의 교육 만족도와 요구사항 분석
- K-스트릿 댄스의 정체성 고찰
- 학령인구 감소 시대, 지역 실용무용 교육 생태계의 위기와 재구성 방안: 광주·전남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