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전통 요소를 차용한 스트릿댄스 작품의 문화적 의미에 관한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Street Dance in Korea that Utilizes Traditional Elements
- 발행기관
- 한국실용무용학회
- 저자명
- 김수인
- 간행물 정보
- 『한국실용무용학회지』제3권 제2호, 5~1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무용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스트릿댄서들의 ‘한국적 퍼포먼스’에서 나타나는 ‘한국’과 ‘전통’의 의미를 문화연구의 관점에서 탐색하기 위해, 스튜어트 홀의 접합(articulation) 개념을 적용한다. 또한 문화 예술분야에서 ‘한국성’을 고찰한 선행연구들 중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예술적 측면에서 ‘한국성’의 사회 구성적 과정을 추적한 연구들에서 이론적 틀을 뒷받침한다. 이를 바탕으로 4명의 국내외 맥락에서 ‘한국적 퍼포먼스’를 만들고 공연한 4명의 댄서를 인터뷰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관련 주제를 모아 항목화를 단계적으로 진행하는 점진적 코딩 방법으로 분석한다. 분석 결과 ‘한국적 퍼포먼스’의 의미는 ‘수용자의 요구에 의한 전략적 한국성 활용’, ‘예술적 탁월함과 다양성 영역에서 다르게 활용되는 ’한국적 요소’, ‘진정한 한국의 표현으로써의 전통’, ‘놀이와 만담을 통한 체화된 한국’이라는 핵심 주제들이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나는 한국 댄스씬의 ‘한국적 퍼포먼스’는 지향점이 다른 사회적 이해관계들이 교차하며 다양한 요소를 댄스에 접합시키는 장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한국 댄서들에게 현재 댄스씬의 지형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Korea’ and ‘tradition’ in the ‘Korean performance’ of street dancers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studies by applying Stuart Hall’s concept of articulation. In addition, it draws the theoretical framework from previous studies that examined ‘Koreannes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which traced the social construction process of ‘Koreanness’ in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artistic aspects. Based on this, I conducted four dancers who created and performed ‘Korean performance’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texts, collected data, and analyzed it using the progressive coding method that categorizes related topic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 that although ‘Korean performance’ is often used as a means of necessity in terms of competition and livelihood for Korean dancers, there are points where it creates artistic and moral meanings. This study recognizes the strategic, artistic, and social meanings of ‘Korea’ for Korean street dancers and deepens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topography of the dance scene.
목차
Ⅰ. 서론
Ⅱ. 춤과 한국성의 접합
Ⅲ. 연구방법
Ⅳ. 인터뷰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브레이킹 배틀의 놀이적 특성 : 호모루덴스를 중심으로
- 세븐틴 <손오공>안무에 나타난 포메이션 F.S.B의 상징성과 서사 구조 분석
- 실용무용 댄서 되기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스트릿댄스 표현활동의 현황과 교수자 역량 강화방안
- 한국 전통 요소를 차용한 스트릿댄스 작품의 문화적 의미에 관한 고찰
- 실용무용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1990년 – 2024년)
- K-POP 산업에서 백업댄서의 처우 문제와 개선에 관한 연구
- 예비 문화예술교육사의 교육 만족도와 요구사항 분석
- K-스트릿 댄스의 정체성 고찰
- 학령인구 감소 시대, 지역 실용무용 교육 생태계의 위기와 재구성 방안: 광주·전남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