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실용무용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1990년 – 2024년)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Trends of Practical Dance Education : Focusing on Domestic Journal and Degree Papers (1990–2024)
발행기관
한국실용무용학회
저자명
배건희
간행물 정보
『한국실용무용학회지』제3권 제2호, 18~25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무용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실용무용 교육 연구의 흐름을 구조적으로 조망하기 위해 텍스트 마이닝, 텍스톰(Textom)과 토픽 모델링을 적용하였다. 분석 시기는 실용무용이 국내에 본격 도입된 1990년대부터, 대학 전공이 제도적으로 확산된 2000년대를 거쳐 2024년까지로 설정하였다. 문헌 수집 과정에서는 박사급 전문가 3인의 논의를 거쳐 다섯 가지 핵심 검색 키워드 ‘실용무용 교육’, ‘스트릿댄스 교육’, ‘코레오그래피 교육’, ‘대학 실용무용 교육’, ‘실용무용 교육프로그램’ 을 확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학술지 논문과 학위논문 총 195편을 확보하였다. 빈도 분석과 TF-IDF 분석을 실시한 뒤, 잠재 디리클레 할당(LDA) 토픽 모델링을 적용하였으며, 토픽 명명 과정 또한 박사급 전문가 3인과의 협의 과정을 거쳐 확립된 것으로, 분석 절차의 합리성을 뒷받침하며 연구 성과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분석 결과를 시각화 한 결과 주요 키워드는 ‘스트릿’, ‘댄스’, ‘전공’, ‘자기관리’, ‘대학’, ‘과정’, ‘필요’ 였으며, TF-IDF 분석에서는 ‘코레오그래피’가 가장 높은 중요도를 보였다. 또한 LDA 결과는 ‘대학 실용무용 전공 과정과 교육체계 연구’, ‘스트릿댄스와 문화 신체 표현 연구’, ‘코레오그래피 및 전공 교육 프로그램 연구’, ‘실용무용수의 자기관리와 심리적 요인 연구’의 네 가지 주제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후속 연구에서 제시한 학제 간 확장과 융합적 분석, 그리고 현장 적용 가능성에 대한 구체적 제언을 토대로 실용무용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열었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지닌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실용무용 교육 연구를 데이터 기반으로 체계화하고 핵심 주제 구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research trends in Korean practical dance education using text mining and topic modeling. Covering the 1990s—when practical dance was introduced—throug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university majors in the 2000s to 2024, 195 academic articles and theses were collected with five expert-validated keywords: practical dance education, street dance education, choreography education, university practical dance education, and practical dance education program. Frequency and TF-IDF analyses highlighted “street,” “dance,” “major,” “self-management,” “university,” “curriculum,” and “need” as key terms, with “choreography” most significant.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identified four themes: university curricula and educational systems, street dance culture and bodily expression, choreography and instructional program development, and dancers’ self-management and psychological factors. Validated through expert triangulation, these findings provide a reliable framework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such as interdisciplinary expansion, integrative analysis, and practical appli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분석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건희. (2025).실용무용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1990년 – 2024년). 한국실용무용학회지, 3 (2), 18-25

MLA

배건희. "실용무용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1990년 – 2024년)." 한국실용무용학회지, 3.2(2025): 18-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