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용무용 댄서 되기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Narrative Study of Becoming a Dancer of Practical Dance
- 발행기관
- 한국실용무용학회
- 저자명
- 노유성
- 간행물 정보
- 『한국실용무용학회지』제3권 제2호, 69~7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무용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04년에 평생교육진흥원소속 교육기관의 계열개설로 처음 등장하게 된 ‘실용무용’이라는 단어는 이제 예술계뿐 아니라 소속되어있지 않은 일반대중들에게도 그다지 낯선 단어가 아니다. 2000년대 초반에 세계대회를 휩쓴 우리나라의 비보이들로 인하여 대중에게 ‘비보이’라는 단어를 인식시키기기 시작했고, 어느샌가 케이팝(K-POP)의 열풍의 주역인 아이돌들의 필수 수행 요소로서 실용무용의 능력이 중시되기 시작한다. 또한 2004년 이후로 평생교육진흥원 소속 교육기관뿐만 아니라 예고와 전문·일반대학교까지 전공 신입생들을 합격시키기 시작하였고, 그들을 위한 커리큘럼을 구축하여 운영 및 발전시키고 있는 실황이다.
연구자는 이처럼 한류 전파와 문화예술교육의 일각에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는 실용무용이라는 장르의 댄서가 되기를 희망했던 사람들에게 어떤 공통점이 있었을지에 대한 지적 호기심이 생기기 시작했다. 따라서 그들이 댄서가 되기를 희망한 부분에 시대적·환경적인 요인이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 생각하고, 리좀적 시각으로 심층면접을 수행함으로 내러티브 연구를 진행해 보려 한다. 연구자 본인 또한 실용무용의 경력이 20년이 넘어가는 댄서로서 그들이 사용하는 현장 텍스트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가질 수 있다고 보고 있으며, 연구를 통해 아이돌이나 실용무용댄서가 되기를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동기부여나 양질의 교육 방법 개발에 이바지하는 것에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영문 초록
The word "practical dance", which first appeared in 2004 with the opening of a significant category at an educational institution affiliated with the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referred to as NILE), is no longer a strange word not only for the art community but also for the general public who have nothing to do with it. In the early 2000s, due to the b-boys in Korea who swept the world competition, the public began to recognize the word 'b-boy', and also the ability of practical dance as an essential performance element of the i-pop stars of the K-POP fever. This began to be important. Besides, since 2004, not only educational institutions affiliated with NILE, but also art high schools, junior colleges, and comprehensive universities have started admitting new students. Furthermore, they are building, operating and developing a curriculum for them. I began to develop intellectual curiosity about what they had in common with dancers who wanted to become dancers in the genre of practical dance, gradually taking their place in the Korean Wave and cultural arts education. Therefore, I think that periodic and environmental factors may have influenced the part they hoped to be dancers, and I would like to conduct a narrative study by conducting an in-depth interview with a Rhizomic perspective. Since the researcher also has a high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field texts they use because he has more than 20 years of practical dance experience, this study motivates students to wish to become an idol or a practical dance dancer, or a quality education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내러티브 탐구
Ⅲ. 심층면접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브레이킹 배틀의 놀이적 특성 : 호모루덴스를 중심으로
- 세븐틴 <손오공>안무에 나타난 포메이션 F.S.B의 상징성과 서사 구조 분석
- 실용무용 댄서 되기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스트릿댄스 표현활동의 현황과 교수자 역량 강화방안
- 한국 전통 요소를 차용한 스트릿댄스 작품의 문화적 의미에 관한 고찰
- 실용무용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1990년 – 2024년)
- K-POP 산업에서 백업댄서의 처우 문제와 개선에 관한 연구
- 예비 문화예술교육사의 교육 만족도와 요구사항 분석
- K-스트릿 댄스의 정체성 고찰
- 학령인구 감소 시대, 지역 실용무용 교육 생태계의 위기와 재구성 방안: 광주·전남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