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집단무용/동작심리치료사의 자기개방이 치료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 교육복지대상아동의 자기표현과 관계성향상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Therapeutic Effects of Therapist Self-Disclosure in Group Dance/Movement Therapy : Focusing on the Enhancement of Self-Expression and Relational Skills in Children from Educational Welfare Backgrounds
발행기관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저자명
김다은(Da-Eun KIM)
간행물 정보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제9권 제1호, 41~6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무용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심리치료사의 자기개방이 아동 집단치료 과정에서 어떠한 치료적 변화를 유발하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동은 발달 특성상 자신의 감정이나 경험을 언어로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초기 집단에서는 심리적 방어로 인해 관계 맺기에 제약을 보인다. 이러한 아동 집단에서 심리치료사의 자기개방은 관계적 안전감 형성, 감정 표현 촉진, 자기 존재 인식 확장, 그리고 집단 내 관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육복지대상 아동을 대상으로 주 1회(80분), 15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심리치료사의 진정성 있는 자기개방은 아동들의 신뢰 형성과 정서적 안정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치료사의 자기개방은 집단 내 감정 순환을 촉진하는 기제로 작용하였다. 심리치료사의 솔직한 감정 표현은 아동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유도하고, 집단 구성원 간 정서적 교류를 활성화시켰다. 특히 언어적 표현이 익숙하지 않은 아동들의 경우, 심리치료사의 감정 공유 이후 다양한 신체 표현과 타인과의 자연스러운 교류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아동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관계 안에서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며, 타인과의 연결을 확장하는 데 있어 심리치료사의 자기개방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자기개방이 아동의 발달 수준이나 집단의 흐름을 고려하지 않고 이루어질 경우, 치료적 경계가 흐려지거나 아동에게 혼란을 유발할 수 있음도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심리치료사의 자기개방이 아동 집단치료에서 신뢰 구축, 자기표현 향상, 관계성 향상시키는 유의미한 개입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향후 다양한 연령과 환경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와 자기개방의 윤리적 고려 및 문화적 맥락에 대한 심층적 탐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therapeutic changes elicited by psychotherapist self-disclosure in the context of child group therapy. Due to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children often struggle to verbalize their emotions and experiences and may exhibit relational resistance in the early stages of group therapy as a psychological defense. In this context, therapist self-disclosure may help foster relational safety, promote emotional expression, enhance self-recognition, and strengthen interpersonal connections within the group. This study implemented a 15-session group therapy program (80 minutes per session, once a week) for children receiving educational welfare services. The results showed that genuine self-disclosure by the therapist positively influenced children’s trust and emotional stability. It also functioned as a mechanism that facilitated emotional circulation within the group, encouraging interaction and emotional exchange among members. Children less accustomed to verbal expression displayed increased nonverbal communication and spontaneous engagement following the therapist’s emotional sharing. However, self-disclosure without consideration of developmental level or group dynamics risked blurring therapeutic boundar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elf-disclosure can serve as a meaningful intervention strategy in child group therapy.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its ethical and cultural implications across diverse populations and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관찰 진단 및 치료 목표, 치료 전략
Ⅴ. 연구 결과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다은(Da-Eun KIM). (2025).집단무용/동작심리치료사의 자기개방이 치료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 교육복지대상아동의 자기표현과 관계성향상을 중심으로.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9 (1), 41-68

MLA

김다은(Da-Eun KIM). "집단무용/동작심리치료사의 자기개방이 치료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 교육복지대상아동의 자기표현과 관계성향상을 중심으로."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9.1(2025): 41-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