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찰 팀장의 지구대 직무환경과 조직문화 인식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perceptions of work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among local police precinct team leaders
발행기관
한국정신건강및행동분석학회
저자명
박홍준 허성호 김가미 박준성
간행물 정보
『정신건강및행동분석연구』제8권 제2호, 65~8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구대에서 근무하는 경찰 팀장이 경험하는 직무환경과 조직문화의 본질적구조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지구대에서 근무하는 경위 계급 팀장 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집단심층면접(FGI)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해 분석했으며, 의미 단위 구분, 심리학적 언어 변환, 본질 구조 도출의 과정을 거쳤다. 분석 결과, 첫째, 직무·평가 영역에서는 책임과 보상 불균형, 평가 불공정, 실적 지상주의가 확인되었다. 둘째, 대인관계 영역에서는 세대 간 가치관 불일치, 상호 신뢰 결핍, 부정적 사건의 자기화가 나타났다. 셋째, 안전·복지 영역에서는 위험 노출과 보고 억제, 외상 사건의 장기 영향, 복지·보상 불균형이 확인되었다. 넷째, 조직문화 영역에서는 권위적 구조와 보상체계 왜곡, 외부 협력의 비효율, 실적 압박에 따른 비윤리적 관행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구대 팀장이 구조적·심리적 제약 속에서 무한 책임을 지면서도 제한된 권한과 불공정한 제도, 취약한 안전·복지 체계 속에서 직무와 조직문화를 경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경찰 조직 내 중간관리자의 경험을 사회심리학적관점에서 심층적으로 조명하고, 조직문화 개선과 심리사회적 지원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e work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as experienced by police team leaders in local precincts (jigudae)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focus group interview (FGI) with six lieutenants (gyeongwi) serving as team leaders nationwide.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meaning units were identified, transformed into psychological language, and synthesized into essential structures. Four domains emerged. First, in work and evaluation, leaders faced imbalance between responsibility and compensation, unfair evaluations, and performancecentered practices. Second,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generational value gaps, lack of trust, and personalization of negative incidents were reported. Third, in safety and welfare, leaders experienced risk exposure, suppressed reporting, long-term trauma effects, and unequal compensation. Fourth, in organizational culture, hierarchical structures, distorted rewards, inefficient external cooperation, and unethical practices under performance pressure were evident. These findings show that police team leaders bear unlimited responsibility with limited authority, within unfair systems and fragile welfare structures.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organizational reform and psychosocial support for midlevel police managers from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목차

Ⅰ. 서 론
Ⅲ.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홍준,허성호,김가미,박준성. (2025).경찰 팀장의 지구대 직무환경과 조직문화 인식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정신건강및행동분석연구, 8 (2), 65-88

MLA

박홍준,허성호,김가미,박준성. "경찰 팀장의 지구대 직무환경과 조직문화 인식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정신건강및행동분석연구, 8.2(2025): 65-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