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보수 개신교 설교의 정치화 담론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The political discourse of conservative protestant sermons in South Korea
발행기관
한국정신건강및행동분석학회
저자명
이강진
간행물 정보
『정신건강및행동분석연구』제8권 제2호, 33~6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보수 개신교 설교에 내재된 정치화 및 극우화 담론을 비판적 담론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의 이론 틀을 바탕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최근 보수 개신교설교자들이 종교적 메시지를 넘어 정치적 발화와 행동을 유도하는 담론을 강화하고 있음에도, 이에 대한 체계적인 언어 분석은 아직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2025년 6월 29일 ‘6·25 주일’을 기준으로 행해진 여섯 편의 보수 성향 설교문을 수집하고, CDA의 세 층위—텍스트, 담론실천, 사회 실천—에 따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오픈 코딩, 축 코딩, 선택 코딩의 절차를 통해 반공주의, 정치 선동, 기복주의, 종말론, 민족 신정론, 교회 정치화 등 여섯 가지 핵심 담론 코드가 도출되었다. 빈도 분석, 상관계수 계산, 클러스터링 기법을 통해 각 담론의 출현 양상과 상호 연계 구조를 시각적으로 구성하고, 히트맵과 클러스터 구조도를 통해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보수 설교 담론은 종교적 언어를 통해 정치적 메시지를 우회적으로 정당화하며, 신앙과 정치가 분리된 것처럼보이지만 실제로는 이를 긴밀히 결합하는 ‘이원화된 통합 전략’을 구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전략은 종교의 정치 도구화, 감정적 동원의 강화, 민주주의 공론장의 왜곡이라는 함의를 내포한다. 연구의 한계로는 수용자 반응이 분석에 포함되지 않았고, 사례 수도 제한적이라는 점이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청중 반응 분석과 국제 비교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vide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politicization and far-right tendencies embedded in the sermons of conservative Protestant pastors in South Korea, employ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Despite the increasing tendency among conservative preachers to promote political messages and behaviors under the guise of religious communication, systematic linguistic analyses of such discourse remain scarce. This research examines six sermons delivered on “Korean War Sunday” (June 29, 2025), selected for their explicitly conservative orienta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across CDA’s three levels—textual, discursive practice, and social practice. Using a multi-layered coding strategy including open, axial, and selective coding, the study identified six key discourse codes: anti-communism, political agitation, prosperity gospel, eschatology, ethnotheocracy, and church politicization. These were further analyzed through frequency mapping, correlation matrix construction, and hierarchical clustering to visualize interrelations and structural formations. Heatmaps and cluster diagrams illustrate how these discursive elements interact to form a complex ideological apparatus. The findings reveal that conservative sermons often employ an indirect "dual integration strategy"— appearing to separate faith and politics rhetorically, while in practice binding them tightly through religious language. This strategy facilitates the political instrumentalization of religion, emotional mobilization, and distortion of the democratic public sphere. Limitations include the exclusion of audience reception analysis and the limited number of sermon cases. Future research should incorporate reception studies and cross-national comparisons to further explore the political functions of religious discours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분석틀
Ⅲ. 연구방법론
Ⅳ. 분석결과
Ⅴ. 논 의
Ⅵ.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강진. (2025).한국 보수 개신교 설교의 정치화 담론 분석. 정신건강및행동분석연구, 8 (2), 33-63

MLA

이강진. "한국 보수 개신교 설교의 정치화 담론 분석." 정신건강및행동분석연구, 8.2(2025): 33-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