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친소관계와 자존감 수준에 따른 SNS 사용시 대조 감정과 상향비교 경험 검증
이용수 0
- 영문명
- Verification of experience of up-comparison with contrast emotions when using SNS according to the level of intimacy and self-esteem
- 발행기관
- 한국정신건강및행동분석학회
- 저자명
- 한웅재 박준성 정태연
- 간행물 정보
- 『정신건강및행동분석연구』제8권 제2호, 5~3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인스타그램을 활용하는 20대와 30대를 대상으로 친소관계와 자존감 수준에따른 SNS 사용 시 대조 감정과 상향비교 경험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친소관계와 자존감의 상호작용이 대조 감정과 상향비교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다. 인스타그램을 사용하는 20대와 30대총 200명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친한 관계보다 소원한 관계에서 대조 감정을 부정적으로 더 크게 느낀다. 상향비교 경험의 경우 친한 관계와 소원한 관계 모두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자존감은 대조 감정과 상향비교 경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소관계와 자존감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대와 30대는 SNS 사용 시 타인이 좋은 성과를 가지는 상황에 대해 대조 감정과 상향비교 경험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현재 SNS 사용 주 연령층에게 긍정적인 SNS 활용과 자존감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verified the experience of contrast emotion and upward comparison when using SNS according to the level of pro-social relations and self-esteem in the 20s and 30s who use Instagram.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pro-social relations and self-esteem on contrast emotions and upward comparison experiences was revealed. A total of 200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use Instagram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contrast emotions are negatively felt more in estranged relationships than in close relationships. In the case of upward comparison experiences, it was found that they felt a lot of both close and estranged relationships. Low self-esteem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contrast emotions and upward comparison experience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o-social relations and self-esteem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ose in their 20s and 30s felt contrast emotions and upward comparison experiences about situations in which others have good performance when using SNS. Through this, the importance of positive SNS use and self-esteem was presented to the age group who currently use S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친소관계와 자존감 수준에 따른 SNS 사용시 대조 감정과 상향비교 경험 검증
- 한국 보수 개신교 설교의 정치화 담론 분석
- 경찰 팀장의 지구대 직무환경과 조직문화 인식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