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읽기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에 대한 읽기 유창성 중재 연구 동향 분석: 2000~2024년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이용수 6
- 영문명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Reading Fluency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Focusing on Studies from 2000 to 2024
- 발행기관
- 한국학습장애학회
- 저자명
- 서정원 최하영
- 간행물 정보
- 『학습장애연구』제22권 제2호, 87~11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읽기 유창성 중재 연구들을 분석하여, 읽기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을 위한 중재의 일반적인 동향과 중재 전략의 특성 및 평가 방법을 고찰하고, 현장 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근거 기반 중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총 22편의 문헌을 선정하여 고유번호를 부여하고, 기본정보, 중재 대상, 중재 환경, 중재 특성, 중재 평가의 다섯 영역에 따라 분석하였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대상자 선정에는「특수교육법」과 연구자 자체 평가 도구가 활용되었다. 중재 환경은 회기 수, 시간, 장소, 중재자 등의 측면에서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활용된 중재 전략으로는 이야기 재연, 빠른 명명하기, 또래 교수 등이 확인되었다. 평가 도구는 주로 표준화 검사가 사용되었으며, 일부 연구에서는 자체 개발 도구가 활용되었다. 읽기 유창성 중재 연구는 지속적으로 발표되어 왔으며, 실천적 가치가 높은 전략들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읽기 유창성 중재 연구의 전반적인 경향, 전략, 평가 방법을 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특수교육 및 일반교육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근거 기반의 중재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Korean reading fluency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focusing on trends, strategies, and assessments. A total of 22 studies published between 2004 and 2024 were selected and assigned unique identifiers for analysis. The studies were examined across five domains: general information, intervention targets, intervention settings,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and assessment methods. Most studies targe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ticipant selection was based on both the Special Education Law and researcher-defined criteria. Intervention settings varied in terms of session frequency, duration, location, and the role of implementers. Commonly employed intervention strategies included story retelling, rapid automatized naming, and peer tutoring. Standardized assessment tools were predominantly used, while some studies utilized researcher-developed instruments. Reading fluency intervention research in Korea has shown consistent development and has proposed strategies with practical relevance.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se studies, this research presents evidence-based intervention approaches applicable to both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contex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비수도권 사립대학 학생의 학업중단 예측요인 분석
- 대면/비대면 수업방식이 대학생의 학습 경험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신입생의 그릿, 진로태도성숙, 대학몰입이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