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고등학생의 공동체 역량 전이 양상 및 영향요인 분석
이용수 12
- 영문명
- Analysis of Community Competence Transition Patterns and Influencing Factors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세진 임재일
- 간행물 정보
- 『국제이해교육연구』제20권 제2호, 41~78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의 4, 6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중학교 및 고등학교 시기의 공동체 역량 분류, 성장에 따른 전이 양상과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 잠재전이분석, 로지스틱 다층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교 시기 모두 공동체 역량이 저‧중‧고수준의 3개 잠재프로파일로 분류되었으며, 모든 잠재프로파일에서 공동체성과 협동성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2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으로 성장함에 따라 모든 수준에서 저수준으로 전이될 확률이 가장 높았다. 셋째, 공동체 역량 프로파일의 전이에는 학생 수준의 변수보다 학교의 지역, 저소득층 비율, 다문화 비율 등 학교 수준 요인이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기 공동체 역량 함양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community competence transition patterns and influencing factors using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data. Applying Latent Profile Analysis, Latent Transition Analysis, and logistic multilevel modeling, we found: (1) Community competence was classified into three profiles (low, middle, high) in both middle and high school, with consistently lower community spirit and cooperation scores; (2) Students across all profiles showed highest probability of transitioning to low-level when advancing to high school; (3) School-level factors (location, low-income and multicultural population proportions) significantly influenced transitions, while student-level variables did not.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adolescents’ community competence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