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세계시민교육 교사 실천공동체의 지속가능성 고찰: ‘희망’(가명) 교사 실천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Contemplation on the Sustainability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er’s Community of Practice
- 발행기관
-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선영
- 간행물 정보
- 『국제이해교육연구』제20권 제2호, 119~152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년 이상 지속된 ‘희망’(가명) 교사 실천공동체의 사례를 탐구하여 그 지속가능성 요인과 당면 과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세계시민교육의 확산과 교사 실천공동체의 발전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희망’ 교사 실천공동체는 세계시민교육의 실천이라는 명확한 공동의 목표, 구성원 간의 강한 유대감과 강력한 리더십, 그리고 자발적 참여를 통해 20년 이상 지속될 수 있었다. 이들은 세계시민교육의 핵심 가치를 전지구적 관점, 평화, 연대와 협력으로 인식하고 있고 이러한 가치를 학교 현장에서 교육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세계시민교육은 확산되고 관심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현실 세계의 갈등과 딜레마로 인해 실효성 문제가 제기된다. 게다가 교사 실천공동체는 회원의 고령화와 신입회원 교사 부재라는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동체 자체의 홍보 노력과 더불어, 관련 학회 및 관련 기관(기구) 등의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궁극적으로는 세대 간 조화로운 협력과 학회 및 관련 기관(기구)의 전략적 지원이 교사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답보하고 세계시민교육 확산의 원동력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sustainability of teacher’s community of practice through the case of ‘Huimang(Hope)’ teacher’s community of practice, 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D) teacher’s community of practice that has been active for over 20 years. This teacher’s community has been able to sustain itself for more than 20 years through a common goal of researching GCED, strong solidarity and leadership, and voluntary participation. They recognize the core values of GCED as a global perspective, peace, solidarity, and cooperation, and they educate these values in the school setting. However, despite the increased interest in GCED, its effectiveness is being questioned due to conflicts and wars in the real world. Furthermore, this teacher’s community of practice is facing challenges such as an aging membership and a lack of new teacher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the community’s own promotional efforts, along with practical and continuous support from society of education and the organization are essential. Ultimately, harmonious cooperation between generations and strategic support from external institutions will guarantee the sustainability of teacher’s communities and become the driving force for the spread of GC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