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NS캐릭터의 소비자 가치와 사용자의 친밀감 동기가 캐릭터 만족, 공유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X에서 가나디 캐릭터 사용자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the Influence of SNS characters’ consumer values and intimacy Motive of ‘X’ users on the Sharing and Purchase Intention
- 발행기관
- 한국광고PR실학회
- 저자명
- 이지원 유승철
- 간행물 정보
- 『광고PR실학연구』제18권 제3호, 207~23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SNS상에서 활용되는 캐릭터의 효과적인 비즈니스 전략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SNS캐릭터의 소비자 가치인 경제적 가치, 쾌락적 가치, 사회적 가치, 이타적 가치와 SNS캐릭터 만족, SNS캐릭터 공유의도, SNS캐릭터 제품 구매의도 간의 관계와 친밀감 동기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X를 사용하는 213명 대상의 설문조사 결과, 사회적 가치는 SNS캐릭터 제품 구매의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쾌락적 가치, 이타적 가치는 SNS캐릭터 만족과 공유의도를 매개로 SNS캐릭터 제품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경제적 가치는 SNS캐릭터 만족을 매개로 SNS캐릭터 제품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친밀감 동기는 일정 구간에서는 SNS캐릭터 제품 구매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SNS캐릭터는 소비자 개인의 만족과 사회적 연결에 사용될 수 있어야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음을 확인했다. 구체적으로, SNS캐릭터는 개인에 즐거움을 제공하는 감정적 소비재의 역할 뿐만 아니라 타인과 함께 소통하고, 교류함으로써 사회적 연결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SNS캐릭터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의 심리적 요인을 양적으로 분석하여 캐릭터의 비즈니스 함의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a newly emerging phenomenon in digital consumer culture: the 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character. Specifically, it explores how various consumer values influence users’ purchase intentions toward SNS characters,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moderating role of users’ intimacy motives—a personality trait salient in X platform users. Employing a quantitative research design, the study utiliz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conducted via SmartPLS 4.0 to empirically test the proposed model. The findings reveal that different dimensions of consumer values exert differentiated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s. Moreover, consumer satisfaction and sharing intentions regarding SNS characters are identified as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s. Notably, the moderating effect of intimacy motive i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in a specific range, suggesting that affective inclinations toward digital personas shape consumption behaviors. While the results offer meaningful insights into the interplay between consumer psychology and digital character commerce, the study also acknowledges several limitations, which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서론
이론적 배경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연구방법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세계관 마케팅의 속성에 따른 소비자 효과 연구
- 대학의 광고 창의성 교육에서 생성형AI 활용 방안 탐색: 창의적 사고과정을 중심으로
- SNS캐릭터의 소비자 가치와 사용자의 친밀감 동기가 캐릭터 만족, 공유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X에서 가나디 캐릭터 사용자를 중심으로
- 라디오가 직면한 문제해결 및 활성화를 위한 방안 모색
- 기업의 ESG 활동이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절차공정성 인식과 소비자 지식을 중심으로
- ESG 이행이 무형자산 형성에 미치는 영향: 기업형태에 따른 비교
- 심리적 거리감이 중국 미세먼지 공익광고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메시지 프레임과 심리적 거리감의 상호작용 및 광고 태도의 매개효과
- 버티컬 미디어와 브랜드의 협업 캠페인 사례 연구: 롯데칠성음료와 마시즘의 ‘음료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OTT 광고요금제 확산에 따른 광고산업 변화와 전략적 대응: 전문가 심층 인터뷰 및 이해관계자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 지방자치단체 행정PR의 재정적 효과에 대한 실증연구: 홍보 예산과 지방재정 운영 성과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 라이브 커머스에서 가상 인플루언서 특성과 이용자 고착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희소성 메시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세계관 마케팅의 속성에 따른 소비자 효과 연구
- 대학의 광고 창의성 교육에서 생성형AI 활용 방안 탐색: 창의적 사고과정을 중심으로
- SNS캐릭터의 소비자 가치와 사용자의 친밀감 동기가 캐릭터 만족, 공유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X에서 가나디 캐릭터 사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