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심리적 거리감이 중국 미세먼지 공익광고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메시지 프레임과 심리적 거리감의 상호작용 및 광고 태도의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Impact of Psychological Distance on the Effectiveness of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for Fine Dust: The Interaction of Message Framing and Psychological Dist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dvertising Attitude
- 발행기관
- 한국광고PR실학회
- 저자명
- 장호월 이귀옥
- 간행물 정보
- 『광고PR실학연구』제18권 제3호, 235~270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중국에서는 심각한 미세먼지 문제로 다양한 공익광고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미세먼지 공익광고의 이익-손실 프레임이 광고에 대한 태도 및 예방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심리적 거리감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점검하고 있다. 더불어 이러한 효과가 예방 행동 의도에 이르는 과정에서 광고 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N=216)를 보면, 미세먼지 광고의 메시지 프레임이 광고 태도와 예방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지만, 메시지 프레임과 심리적 거리감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미세먼지를 심리적으로 더 멀게 느끼는 사람들에게 이익 프레임보다 손실 프레임의 광고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이러한 상호작용 효과가 예방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광고 태도를 통해 매개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손실 프레임이 광고 태도를 통해 미세먼지 예방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미세먼지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이 멀수록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미세먼지 공익광고 효과에서 공중의 심리적 거리감과 광고 태도의 중요성을 확인시켜 주며, 심리적 거리감에 따른 적합한 광고 메시지 전략이 미세먼지 예방을 위한 행동 의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ain-loss framing of fine dust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and psychological distance, focusing on its effects on attitudes towards the advertisements and intentions for preventive behavior in China. Additio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advertising attitude in the process leading to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was verified. According to the results (N=216), the interaction effect of message frame and psychological distance was significant, such that those who felt more psychologically distant from fine dust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ads with loss-frames than gain-frames. Furthermore, we foun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on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was mediated by attitudes toward the advertisement. Specifically, the effect of loss-framed messages on behavioral intention to prevent fine dust, through ad attitudes, was stronger when the psychological distance from fine dust was greater. The study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impact of loss-framing on the intention to engage in fine dust prevention behaviors is more effective as the psychological distance regarding fine dust increases. These findings confirm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distance and advertising attitudes in the effectiveness of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related to fine dust. It suggests that an appropriate advertising message strategy, tailored to psychological distance, can enhance the intention to engage in prevention behaviors against fine dust.
목차
서론
선행연구
연구 방법
연구 결과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세계관 마케팅의 속성에 따른 소비자 효과 연구
- 대학의 광고 창의성 교육에서 생성형AI 활용 방안 탐색: 창의적 사고과정을 중심으로
- SNS캐릭터의 소비자 가치와 사용자의 친밀감 동기가 캐릭터 만족, 공유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X에서 가나디 캐릭터 사용자를 중심으로
- 라디오가 직면한 문제해결 및 활성화를 위한 방안 모색
- 기업의 ESG 활동이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절차공정성 인식과 소비자 지식을 중심으로
- ESG 이행이 무형자산 형성에 미치는 영향: 기업형태에 따른 비교
- 심리적 거리감이 중국 미세먼지 공익광고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메시지 프레임과 심리적 거리감의 상호작용 및 광고 태도의 매개효과
- 버티컬 미디어와 브랜드의 협업 캠페인 사례 연구: 롯데칠성음료와 마시즘의 ‘음료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OTT 광고요금제 확산에 따른 광고산업 변화와 전략적 대응: 전문가 심층 인터뷰 및 이해관계자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 지방자치단체 행정PR의 재정적 효과에 대한 실증연구: 홍보 예산과 지방재정 운영 성과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 라이브 커머스에서 가상 인플루언서 특성과 이용자 고착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희소성 메시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세계관 마케팅의 속성에 따른 소비자 효과 연구
- 대학의 광고 창의성 교육에서 생성형AI 활용 방안 탐색: 창의적 사고과정을 중심으로
- SNS캐릭터의 소비자 가치와 사용자의 친밀감 동기가 캐릭터 만족, 공유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X에서 가나디 캐릭터 사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