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후변화 문제의 심리적 영향 경험에 따른 감정과 정서에 관한 연구 - 생애사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Emotions and Affects in Relation to the Psychological Impact of Climate Change: Focusing on Life Story Narrative
- 발행기관
-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 저자명
- 조아라
- 간행물 정보
- 『에너지기후변화교육』제15권 제2호, 31~4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후변화 문제의 심리적 영향을 경험한 대상자의 생애사 내러티브를 통해 기후변화로 인하여 감정과 정서의 흐름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 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생애사 내러티브를 분석하여 심리적 작용을 심층적으로 추적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참가자에게 인식 초기 혼란, 공포, 불안의 부정적 감정이 포착되었으며, 개별 경험과 특성에 따라 기후우울증을 극복한 경우와 지속적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경우로 나뉘는 양상을 발견하였다. 영향을 준 요소로 학습과 공동체가 있었다. 먼저 학습을 통해 생태 감수성이 향상되거나 감정적 민감성이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공동체의 경우, 기후감정에 대한 완충 역할을 하거나 행동함에 있어서 중요한 환경을 제공하고 실천 의지를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기후변화 적응의 중요성을 밝히고, 사회적 대응뿐만 아니라 개인의 정서적 적응과 정서 역량 함양의 필요성을 밝히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emotions and affects related to climate change through life narratives.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three participants’ narrative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ir emotions and affects. The results showed that all participants experienced confusion, fear, and anxiety regarding the climate crisis. These negative feelings emerged after they became aware of the severity of climate change. Through their narratives, I was able to capture in overcoming climate anxiety or continued to persistent emotional distress. The most distinctive factors were “learning” and “community.” “Learning” enhanced participants’ competencies by increasing ecological sensitivity and sensitizing emotional responses. In addition, “community” alleviated emotional responses and fostered particip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emotional adaptation and collective action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탄소중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와 기후변화에 대한 탐구 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 대응 교육 내용
- 현장 교사들의 생태중심주의 및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