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환경⋅에너지 교육 내용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Environmental and Energy Education Content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발행기관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저자명
윤윤선 윤순진
간행물 정보
『에너지기후변화교육』제15권 제2호, 1~1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환경⋅에너지 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에너지 교육과 기후위기 대응 교육의 연계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학교 급별 교육과정 문헌을 분석하였는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론에서는 기후⋅생태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미래 역량과 주도성 함양이 핵심 중점으로 제시되었으며, 환경⋅에너지 주제는 교과별 성취기준 전반에 걸쳐 통합적으로 다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초등학교에서는 주로 통합 교과, 사회, 과학, 실과 교과에서 환경⋅에너지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으나, [3∼4학년군]에서 환경⋅에너지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성취기준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이를 보완하는 교육이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셋째, 중학교에서는 주로 사회, 과학, 기술⋅가정, 환경 선택 과목에서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기후변화와 에너지 사용의 관계는 주로 환경 선택 과목에서 다뤄지므로, 이를 공통 과목으로 확대하거나 학년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고등학교에서는 교과 전반에 걸쳐 융합적 주제가 성취기준에 나타나며, 이전 교육과정과 비교했을 때 사회과 계열에서 융합 선택 과목에 포함된 환경⋅에너지 관련 내용이 눈에 띄게 증가하였다. 이는 국제 사회에서 기후변화 대응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관심이 높아진 사회과학적 접근의 중요성과 단일 교과를 넘어 융합적으로 다뤄져야 할 환경⋅에너지 교육의 필요성을 2022년 개정교육과정이 상당 부분 반영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 of environmental and energy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explore its connection to climate crisis response education. To achieve this, we examined the general framework and school-level curricula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yielding the following findin2gs. First, the general framework emphasizes the development of future competencies and a proactive response to climate and ecological changes while integrating environmental and energy topics as interdisciplinary themes across subjects. Second, in elementary schools, environmental and energy-related content is mainly covered in integrated subjects, social studies, science, and practical arts. However, the achievement standards directly related to environmental and energy topics for the [Grades 3–4] group are relatively insufficient, highlighting the need for supplementary education to address this gap. Third, in middle schools, relevant content is primarily included in social studies, scienc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nd elective environmental studies.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and energy use is mainly addressed in the elective environmental studies cours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is topic into a core subject or adjust the grade levels in which it is taught. Fourth, in high schools, interdisciplinary themes are embedded in achievement standards across subjects. Compared to the previous curriculum, there has been a noticeable increase in the environmental and energy-related content in the integrated elective courses within the social sciences. This reflects the growing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social science approaches to climate change discussion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underscores the need for environmental and energy education to be addressed beyond individual subjects through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largely incorporates these consider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및 절차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윤선,윤순진. (2025).2022 개정 교육과정의 환경⋅에너지 교육 내용 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5 (2), 1-14

MLA

윤윤선,윤순진.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환경⋅에너지 교육 내용 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5.2(2025): 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