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연극전공의 연출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모듈형 통합 교과 모델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Directing Education in University Theater Departments -Focused on a Modular Integrated Curriculum Model-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이성구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20권 제2호, 75~9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2년제 이상 연극 관련 학과의 교과과정 편성 실태를 전수 조사하여, 대학 연출교육의 구조적 문제를 진단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수 조사를 통해 전국 73개 대학 중 학부(과)명이나 전공명에 ‘연극’ 또는 ‘연출’이 포함된 23개 대학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교과목을 이론, 희곡, 연기, 극장기술, 제작, 연출의 여섯 유형으로 분류하고, 유형별 분포를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 대학을 전공 명칭과 운영 형태에 따라 A, B, C, D의 네 개 그룹으로 구분하여 연출교육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체계와 관계없이 유사한 교과 구성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연기 관련 교과의 비중이 가장 높고, 연출 관련 교과는 전체의 10%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연출교육이 개별 교과보다는 제작 교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는 제작 교과를 중심으로, 개별 교과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교수자 협업을 통해 설계 가능한 ‘모듈형 통합 교과’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 모델은 연출교육을 연결 중심의 체계로 전환하고, 연출 역량을 점진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 실천적 교육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대학 연출교육의 교육과정 개선과 나아가 현장 적응력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address structural issues in directing education by analyzing th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course offerings of theater-related departments at two-year and four-year colleges in South Korea. The research targeted 23 institutions whose department or major titles included ”Theater” or “Directing,” and categorized their courses into six types: theory, playwriting, acting, stage technology, production, and directing. The distribution of these types was analyzed by calculating the percentage distribution. The results showed that acting-related courses occupied the highest proportion, while directing-related courses accounted for less than 10% of all offerings. Most universities provided directing education within production practice courses rather than through a structured sequence of specialized cours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ree key strategies to enhance directing education: strengthening the linkage between individual courses, phased development of production practice courses, and integration with related fields and professional industries. As a concrete model, a “Modular Integrated Curriculum” is proposed to enable a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approach to directing educ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목차

Ⅰ. 서론
Ⅱ. 대학 연출교육의 실태 분석
Ⅲ. 현행 교육의 구조적 문제
Ⅳ. 모듈형 통합 교과 모델 제안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구. (2025).대학 연극전공의 연출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모듈형 통합 교과 모델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20 (2), 75-97

MLA

이성구. "대학 연극전공의 연출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모듈형 통합 교과 모델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20.2(2025): 75-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