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말해지지 않은 감정과 스몰트라우마 -화용론 기반 연극치료의 표현적 가능성-
이용수 0
- 영문명
- Unspoken Emotions and Small Trauma -Exploring the Expressive Possibilities of Drama Therapy through Pragmatics-
- 발행기관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 저자명
- 조아인
- 간행물 정보
- 『연극예술치료연구』제22호,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스몰트라우마(Small 't' Trauma, Small Trauma, Tiny Traumas)가 감정의 발화구조를 어떻게 침묵시키는지를 오스틴(Austin, J.L.)의 발화행위이론과 서얼(Searle, J.R.)의 적합조건 이론을 통해 분석하고, 감정표현의 구조적 붕괴 과정을 구체화하였다. 스몰트라우마는 감정이 사회적・언어적 조건을 상실하면서 점진적으로 침묵하는 구조를 형성하며, 이러한 과정은 트라우마 회복의 안정화 – 재처리 – 통합 단계와 병행 가능한 회복 경로를 지닌다. 감정 발화 복원은 단순한 언어적 구조 회복을 넘어, 브레네 브라운(Brown, B.)이 제시한 ‘취약성의 용기’를 바탕으로 정서적 안전망을 복원하는 과정을 필수적으로 수반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연극치료는 감정의 수용, 의미화, 언어화를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수행적 매체로 작동하여, 스몰트라우마로 인한 감정의 침묵을 다시 발화 가능한 서사로 변환시키는 효과적인 예술적 방법론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스몰트라우마의 화용론적 구조를 분석하고, 연극치료를 통한 감정 회복 경로를 구체화함으로써, 언어, 정서, 예술치료를 연결하는 새로운 이론적․실천적 기반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how Small Trauma (Tiny Traumas) silences the structure of emotional utterance through J.L. Austin’s Speech Act Theory and John Searle’s Felicity Conditions, and concretizes the process of structural collapse in emotional expression. Small trauma forms a structure in which emotions gradually become silenced as their social and linguistic conditions are lost, and this process presents a recovery trajectory that can be paralleled with the trauma recovery stages of stabilization, reprocessing, and integration. The restoration of emotional utterance is emphasized not merely as the recovery of linguistic structures, but as a process that necessarily involves rebuilding an emotional safety net based on the “courage of vulnerability” proposed by Brené Brown.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s that drama therapy, as a performative medium that integrally supports emotional acceptance, meaning-making, and verbalization, offers an effective artistic methodology for transforming the silence of emotions caused by small trauma into a recoverable narrative. By analyzing the pragmatic structure of small trauma and specifying the path of emotional recovery through drama therapy, this study provides a new theoretical and practical foundation connecting language, emotion, and arts therapy.
목차
I. 서론 : 감정은 왜 말해지지 않는가?
II. 본론
Ⅲ. 결론 : 화용론 기반의 연극치료의 회복 전략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메리 세트라키안Mary Setrakian의 SING, FIND YOUR TRUE VOICE에서 제시하고 있는 ‘호흡법’에 관한 고찰 -연극치료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 『잘자요, 엄마』의 장르 특성에 따른 크로노토프 형성 과정 연구
- A.R. Gurney의 <러브레터> 연구 -자크 라깡의 정신분석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