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브랜딩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144

영문명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University Branding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박수진 김병주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3권 제4호, 125~15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대학 브랜딩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연구의 흐름을 조망하며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0년부터 2024년까지 35년간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402편을 선정하여 학문 분야적 특징(연구물·연구자), 연구 내용적 특징(연구 주제·연구 영역), 연구 방법적 특징(연구 대상·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의 세 가지 범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 브랜딩 연구는 1990년대 후반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0년대 이후 급격히 활성화되었으며, 주로 ‘사회과학’과 ‘예술체육학’ 분야에서 이루어졌다. 연구 주제는 ‘평가’와 ‘효과’ 분석에 집중되었으며, 특히 ‘대학 아이덴티티(UI)’ 연구가 주된 연구 영역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은 ‘문헌 기반 연구’,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은 ‘양적 연구’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섯 가지 주요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다학제적 협력 연구의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대학 브랜딩 개념에 대한 명확한 정립과 체계적인 이론적 틀 마련이 요구된다. 셋째, 다양한 연구방법론의 적용 확대가 필요하다. 넷째, 대학의 본질적 역할과 사회적·윤리적 가치에 기반한 브랜딩 연구로 전환되어야 한다. 다섯째, 정부·기업·대학·민간이 협력하여 통합적 대학 브랜딩 전략을 구축해야 한다. 본 연구는 대학 브랜딩 연구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학문적·실무적 기초자료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학 브랜딩이 교육·연구 등 대학의 본질적 기능과 어떻게 연계되는지에 대한 심층적이고 실증적인 탐색이 요구되며, 대학의 철학과 가치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전략적 수단으로서 대학 브랜딩 연구의 다각적인 확장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research trends in university branding in South Korea, based on an analysis of 402 academic papers published between 1990 and 2024. The study aims to provide an integrated overview of the current academic landscape and offer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The analysis is structured around three key dimensions: Academic Characteristics, Research Content, and Methodological Features. Findings indicate that research on university branding began to rise in the late 1990s and became increasingly active after the 2000s, particularly in the fields of ‘Social Sciences' and ‘Arts and Physical Education'. The dominant research topics focused on ‘Evaluations' and ‘Effectiveness', with ‘University Identity(UI)' emerging as the most frequently addressed area. Methodologically, studies largely relied on ‘Literature-Based Research' and employed ‘Quantitative Approach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five strategic directions: First, the expansion of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Second, the establishment of clearer conceptual definitions and theoretical frameworks; Third,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methodologies; Fourth, a shift toward branding strategies grounded in universities’ intrinsic roles and social responsibilities; and Fifth,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university branding strategies through collaboration among government, industry, academia, and the civil sector.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by consolidating past research and presenting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university branding in higher education.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수진,김병주. (2025).대학 브랜딩 연구 동향 분석. 교육학연구, 63 (4), 125-155

MLA

박수진,김병주. "대학 브랜딩 연구 동향 분석." 교육학연구, 63.4(2025): 125-1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