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공선택 여부에 따른 학습경험이 대학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수 및 동료와의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분석
이용수 265
- 영문명
- The Effect of Learning Experiences on College Engagement by Major Declaration Status: The Mediating Role of Faculty and Peer Interaction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이승민 김지하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3권 제4호, 1~2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율전공(무전공) 학생과 전공선택 학생 간 학습경험(협력적·능동적·도전적 학습) 및 교수·동료 상호작용이 대학몰입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비교·분석하여 전공자율선택제 운영의 실질적인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2024 대학의 교수·학습 및 혁신에 관한 학생 조사(NASEL-i)」자료를 활용해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표본 분석 결과, 협력적·도전적 학습이 교수‧동료와의 상호작용을 매개로 대학몰입을 유의미하게 증진시킨 반면, 능동적 학습은 교수와의 상호작용 경로를 통해서는 대학몰입을 높였으나 동료와의 상호작용 경로에서는 대학몰입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집단 분석 결과, 도전적 학습이 교수와의 상호작용을 매개로 대학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전공선택 집단에서만 유의하였고, 협력적 학습이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매개로 대학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자율전공 집단에서 더 강하게 작동하였다. 셋째, 자율전공 집단에서 교수·동료와의 상호작용이 대학몰입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능동적 학습이 교수와의 상호작용을 매개로, 협력적·도전적 학습이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매개로 대학몰입을 유의미하게 향상시키는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의 자율전공 학생 지원방안으로 1) 동료와의 상호작용에 기반한 협력적·도전적 학습경험 촉진 수업 설계, 2) 자율전공 학생 지도를 위한 전임교원 지정, 3) 교수 피드백 중심 능동적 학습 확대, 4) 팀 기반 학습 및 문제 중심 학습 등 동료 협력 기반 수업방법의 제도화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learning experiences (collaborative, active, and challenging learning), faculty and peer interactions, and college engagement between undeclared and declared-major students. Using data from the 2024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 and Innovation (NASEL-i),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llaborative and challenging learning indirectly enhanced engagement via faculty and peer interactions, whereas active learning increased engagement through faculty interaction but decreased it through peer interaction. Second, the path from challenging learning to faculty interaction was significant only among declared-major students, while the path from collaborative learning to peer interaction was significantly stronger among undeclared students. Moreover, faculty and peer interactions did not directly predict engagement, but mediated the effects of learning experiences. The study suggests supporting undeclared majors by fostering peer-based collaborative·challenging learning, assigning full-time faculty advisors, expanding feedback-centered active learning, and institutionalizing methods such as TBL and PBL.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