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을 위한 디지털 선도학교 사례연구: 서울지역 K 특성화고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403

영문명
A Case Study on a Digital Beacon School for the Introduction of AI Digital Textbooks: Focused on a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in Seoul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송진주 김채은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3권 제4호, 31~6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디지털 선도학교에서 교사 및 학생이 정책 도입 이후 경험한 긍정적 변화, 어려움, 학습 효과를 분석하고 AI 코스웨어 경험에 기반한 AI 디지털 교과서(이하 AIDT)에 대한 기대 및 우려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에 서울 소재 특성화고인 K 고등학교 교사 4명과 학생 3인을 면담하고, 관련 문헌을 탐색하여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K 고등학교는 ‘디지털 역량을 갖춘 미래 인재 양성’을 목표로, AI 기반 교수학습법 연구와 수업 혁신, 교원 역량 강화, 기초학력 제고를 중심으로 디지털 선도학교를 운영하였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디지털 프로그램과 연수, 맞춤형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와 학생은 디지털 및 AI 리터러시 향상, 수업에 태블릿 및 에듀테크 활용, 상호작용에서 긍정적 변화를 경험하였다. 반면, 디지털 역량이 부족한 교사 및 학생의 기기 활용 어려움, 교사의 연수 피로도 증가, 정책의 급변 및 특성화고 소외, 전문교과에 AI 코스웨어 및 태블릿 적용 어려움과 같은 문제 또한 경험하고 있었다. 학습 성취도, 흥미, 집중도 등은 복수의 교사 및 학생이 도움을 받았다고 표현한 데 반해, 정책 도입 이전에 비해 특별한 향상이 없다는 학생의 의견도 존재하였다. AIDT와 관련하여서는 즉각적 학습 결과 확인, 이동 편이성, 매체 활용 용이 등과 같은 기대도 있었으나 기능 부족, 디지털 자극에 대한 내성과 같은 우려도 공존하였다. AIDT 도입 시 교사의 의견 반영, 부진 학생 보조, 전문교과 학습 자료 확충 등이 필요하고, 교사 역할의 주안점 변화 등이 연구 결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디지털 교육 정책이 특성화고 맥락에서 안정적으로 정착되어 교육 효과를 높일 방안과 더불어 양질의 AIDT를 개발하고 활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positive changes, challenges, and learning effects experienced by teachers and student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Digital Beacon School policy, along with their expectations and concerns regarding AI Digital Textbooks (AIDT) based on AI courseware use. A cas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with four teachers and three students at K High School, a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in Seoul, and a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The school pursued its goal of ‘fostering digitally competent human resources’ through AI-based teaching, instructional innovation, teacher competency development, and academic skill enhancement. These efforts improved digital and AI literacy, tablet/edtech use, and teacher-student interaction. Challenges included uneven digital competencies, teacher fatigue from training, rapid policy shifts, marginaliza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nd difficulty in applying AI tools in specialized subjects. While some participants reported gains in achievement and interest, others perceived no notable change. Expectations for AIDT focused on real-time feedback and multimedia use, while concerns included limited functionality and digital desensitization.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eflecting teachers’ feedback, supporting low-performing students, expanding specialized subjects’ content, and redefining teachers’ roles to ensure stable policy implementation and high-quality AIDT development.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진주,김채은. (2025).AI 디지털 교과서 도입을 위한 디지털 선도학교 사례연구: 서울지역 K 특성화고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63 (4), 31-64

MLA

송진주,김채은.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을 위한 디지털 선도학교 사례연구: 서울지역 K 특성화고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63.4(2025): 31-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