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래 교육 담론 지형에서 본 유네스코 ‘교육의 미래’

이용수  270

영문명
Mapping UNESCO’s 「Futures of Education」 in the Lanscape of Future Education Discourses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엄수정 백병부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3권 제4호, 65~9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네스코의 「함께 그려보는 우리의 미래: 교육을 위한 새로운 사회계약」 보고서가 현재 구성되고 있는 다양한 미래 교육 담론들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어떠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체계적인 문헌 고찰을 통해 미래 교육 담론을 교육 4.0, 미래 역량, 탈신자유주의, 탈인류세, 포스트휴먼, 코로나19라는 여섯 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각 범주의 담론적 특성을 분석했다. 다음으로 이들 담론을 ①새로운 미래 – 오래된 미래, ②사회 적응 – 사회 변혁, ③기술지향성 – 가치지향성, ④인간 – 인간 너머 등의 네 축을 기준으로 분류한 다음, 이러한 지형 속에서 유네스코 보고서가 미래 교육 담론들과 어떻게 연결되고 충돌하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유네스코 보고서는 ‘회복적 미래’, ‘공동지식’, ‘연대의 페다고지’ 등 가치지향적인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기술 중심 및 적응 중심의 지배적 담론들과 차별화되는 입장을 제시할 뿐 아니라, 인간-너머 세계와의 얽힘을 전제로 하는 존재론적 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함으로써 미래 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동시에 유네스코 보고서는 여전히 인간 주체 중심의 행위성과 기술의 도구화라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음을 드러내기도 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분석을 토대로, 미래 교육 정책이 과거-현재-미래의 얽힘 속에서 구성되는 복수적이고 가치 중심적인 교육, 변혁을 지향하는 교육, 인간 너머의 존재들과 함께하는 교육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UNESCO’s Reimagining Our Futures Together report within the discursive landscape of future education.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his research categorizes future education discourses into six types—Education 4.0, future competencies, post-neoliberalism, post-Anthropocene, posthumanism, and COVID-19—and analyzes their discursive characteristics. The study further maps these discourses along four analytical axes: (1) new futures vs. entangled past futures, (2) social adaptation vs. social transformation, (3) technology-driven vs. value-oriented, and (4) human-centered vs. more-than-human perspectives. The report is shown to challenge dominant discourses by emphasizing values such as reparative futures, knowledge commons, and solidarity pedagogy, while also calling for an ontological shift toward more-than-human entanglements. However, its human-centered agency and instrumental view of technology reveal lingering limitations.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argues for future education policies that are plural, transformative, and grounded in ethical and ecological responsibility.

목차

I. 서론
II. 유네스코 ‘교육의 미래’
III. 연구 방법
IV. 미래 교육에 대한 여섯 가지 담론
V. 미래 교육 담론 지형과 유네스코 ‘교육의 미래’의 위치
VI.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엄수정,백병부. (2025).미래 교육 담론 지형에서 본 유네스코 ‘교육의 미래’. 교육학연구, 63 (4), 65-94

MLA

엄수정,백병부. "미래 교육 담론 지형에서 본 유네스코 ‘교육의 미래’." 교육학연구, 63.4(2025): 65-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