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IBEC 과정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 분석을 통한 교사교육의 방향 탐색

이용수  60

영문명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Teachers Who have Participated in IBEC Courses to Explore the Future of Teacher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국제바칼로레아(IB)교육학회
저자명
이현경 김이슬 송진웅
간행물 정보
『IB 교육 연구와 실천』제1권 제1호, 35~6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IBEC(International Baccalaureate Educator Certificate) 프로그램을 경험한 교사들의 ‘이해’와 ‘실천’ 양상을 탐색함으로써 현 교사교육의 한계점에 관한 대안적 교사교육의 방향 모색에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국내 대학에서 IBEC 과정을 이수한 경기 지역 초⋅중⋅고등학교 교사 총 9명(각 학교급별 3명씩)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개별 면담을 실시한 후, 에믹코딩과 주제분석법을 통해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IBEC 과정에 참여한 교사들의 교육내용에 관한 경험적 이해를 ‘다름(difference)’, ‘낯설지만 익숙함(uncanny)’으로, 교육방법에 관한 이해를 ‘꺼내는 방식(educere)’, ‘공감(sympatheia)’으로 특징지을 수 있었다. 한편, 교사들의 실천은 IBEC 과정에서 배운 내용을 교실 수업과 평가에 적용하려는 ‘교실 속 충실한 적용’ 양상과 ‘IBEC의 한계와 그 너머의실천’ 양상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특히, IBEC 과정에서 한계를 느낀 일부 교사들은 학교 안팎의 전문적 학습공동체(PLC)를 활용한 협력적 탐구를 통해 이를 보완하는 양상을 보였음이 특징적이었다. 학술적 기여: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IBEC에서 더 나아간 대안적 교사교육을 제안하였다. 즉, 미래사회와 교직 환경 변화에 주체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협력적 탐구(PLC)를 촉진하는 지속 가능한 전문성 개발 교사교육 체계로 나아가야 한다고 본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맥락에서 독특하게 발견된 ‘심리적 저항(resistance)’을 완화하기 위한 경력 단계별 맞춤형 교수 전략을 개발하고, 교사 행위주체성(teacher agency)을 지원하는 방향으로의 설계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Educator Certificate (IBEC) program in order to find alternative directions for teacher education regarding the limitations of current teacher education. Methods: A total of nin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ree from each school level) in Gyeonggi Province who had completed the IBEC program at a domestic university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followed by qualitative analysis using emic coding and thematic analysis. Results: Teachers' experiential understanding of IBEC content was characterized as ‘difference’ and ‘uncanny’, and their understanding of pedagogy was characterized as ‘educere’ and ‘sympatheia’. Teachers' practices could be categorized into ‘faithful application in the classroom’, where they attempted to apply what they learned in IBEC courses to classroom instruction and assessment, and ‘practice within and beyond the limits of IBEC’. In particular, some teachers who felt limited by IBEC courses compensated for this through collaborative exploration us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PLCs)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Contribu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an alternative teacher education that goes beyond IBEC: a sustainable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er education system that fosters collaborative inquiry (PLC) that enables teachers to a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future society and teaching environment. To this end, they emphasized the need to develop customized teaching strategies for each career stage to alleviate the ‘psychological resistance’ found uniquely in the Korean context, and to design in a way that supports teacher agency.

목차

Ⅰ. 서론
II. 선행연구 고찰: 현 교사교육의 한계
III. 연구 방법
IV. IBEC 과정에의 참여 경험
V. IBEC 이수 후 교사들의 실천
VI.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경,김이슬,송진웅. (2025).IBEC 과정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 분석을 통한 교사교육의 방향 탐색. IB 교육 연구와 실천, 1 (1), 35-65

MLA

이현경,김이슬,송진웅. "IBEC 과정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 분석을 통한 교사교육의 방향 탐색." IB 교육 연구와 실천, 1.1(2025): 35-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