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래 교수학으로서 IB 교육의 이론적 가능성: Bruner의 내러티브 페다고지에 근거하여

이용수  47

영문명
Theoretical Possibilities of IB Education as a Future Pedagogy: Based on Bruner's Narrative Pedagogy
발행기관
한국국제바칼로레아(IB)교육학회
저자명
강현석 노진규
간행물 정보
『IB 교육 연구와 실천』제1권 제1호, 3~3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최근 한국의 경우 IB 도입 내지 찬⋅반에 대한 학술적, 실천적 담론이 최근 몇 년간 무성하였지만, 전국 시⋅도교육청 단위에서 정책적으로 도입, 적용이 증가하는 양상이다. 이 적용 과정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국가 교육과정과의 관계에서 상보적, 호혜적 기능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편이다. 대표적으로 공교육 혁신 담론으로서 교육과정, 수업, 평가를 이전과 다르게 혁신한다거나 국가 교육과정을 보다 풍부하게 재구성해준다는 이점들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러한 개량적 접근에 함몰되지 않으면서 기능적 해법을 극복하고 새로운 교수학의 가능성을 모색해보는 데에 있다. 연구방법: 미래 교수학으로서의 IB 교육의 이론적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을 체계적으로 리뷰하고 철학적으로 검토하는 신토피컬 리딩 방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공교육 개선의 담론을 넘어서 IB 교육이 추구하는 바에 심층적으로 주목할 경우 IB 교육이 지니는 새로운(전회적) 교수학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IB 교육은 전달모형을 축으로 하는 근대 교육학이 강조해 온 지식과 기능의 습득, 앎의 축적으로서 학력관, 객관주의 평가관을 뛰어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로 내러티브 패다고지 접근을 상정할 수 있다. 기존의 인습적인 학교 교수학과 전회적 교수학이 공진화하고 묘합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학술적 기여: 본 연구는 한국에서 진행되는 IB 교육의 실천 측면에서의 개량적 입장에 일정 부분 공감하면서도 보다 근본적으로 IB 교육에 내재된 인간(학습자)관, 학습 및 학력관,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철학 등을 고려하면서 IB 교육을 미래교수학으로 자리매김하고 그 가능성을 탐색해보았다. 이 시도의 이론적 근거로 Bruner의 내러티브 페다고지에 주목한다. 이는 한국 IB 교육 현상의 설명을 위한 하나의 이론적 가설 형성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Over the past few years, the pace and scope of the introduction of the IB in Korean school education has been very steep and wide. Unlike in the past, attempts to innovate school education in a particular country are very international, universal, and specializ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Korea, academic and practical discourse on the introduction or pros and cons of the IB has flourished in recent years, but its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are increasing at the level of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cross the country. Methods: The most striking feature of this application process is the positive effect of the evaluation of complementary and reciprocal functions in relation to the national curriculum. The benefits of renovating curricula, teaching and assessment and reorganizing the national curriculum have emerged. Results: While sympathizing with this reformist stance to a certain extent, this study aims to position IB education as the future pedagogy and explore its possibilities by considering the human (learner) view, the view of learning and academic ability, and the philosophy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inherent in IB education. Contributions: As a rationale for this effort, we look to Bruner's narrative pedagogy. This is the level for the formation of a theoretical hypothesis.

목차

Ⅰ. 서론
II. 현행 학교 교수학의 지형과 IB 학교 수업 비판
III. 내러티브 페다고지에 근거한 미래 교수학으로서 IB 교육
I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현석,노진규. (2025).미래 교수학으로서 IB 교육의 이론적 가능성: Bruner의 내러티브 페다고지에 근거하여. IB 교육 연구와 실천, 1 (1), 3-34

MLA

강현석,노진규. "미래 교수학으로서 IB 교육의 이론적 가능성: Bruner의 내러티브 페다고지에 근거하여." IB 교육 연구와 실천, 1.1(2025): 3-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