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입 중인 학교, 미처 닿지 않은 지원: IB 후보 및 인증학교 지원을 위한 32개 정책 제언
이용수 47
- 영문명
- In Progress but Undersupported: 32 Policy Recommendations for Supporting IB Candidate and Authorized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국제바칼로레아(IB)교육학회
- 저자명
- 이무성 허예지 김지현 류영휘 조현희 김은수 김남식 성수진 이상욱
- 간행물 정보
- 『IB 교육 연구와 실천』제1권 제1호, 119~14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IB 후보학교 및 인증학교 소속 교사들이 IB 교육의 실행 과정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제도적⋅실천적 지원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시⋅도교육청별 IB 학교 운영 및 지원 현황에 대한 공식 문서를 분석하고,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지원책과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지원 요소들을 도출하기 위해 사고 발화 방법(think aloud method)과 외부 전문가 자문 내용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재정 지원, 인사 및 행정 지원, 시⋅도교육청 간 협업 기반의 지원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총 32개의 정책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결론부에서는 향후 지속 가능한 IB 학교 운영을 위한 후속 정책 방향에 대한 제언을 덧붙였다.
학술적 기여: 본 연구는 정책 제언 논문으로서, 현장의 요구와 상황을 반영한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다각도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정책 실천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 더불어, 향후 학술적 논의의 기반이 될 수 있는 탐색적 연구로서의 의의도 갖는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pose institutional and practical support strategies to help teachers at IB World Schools and candidate schools overcome various challenges they face in the implementation of IB programmes in South Korea.
Methods: The research team analyzed official documents from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regarding the current status of IB school operations and support. To identify both the support mechanisms that should be sustained and the additional needs in the field, a collaborative inquiry was conducted using the think-aloud approach.
Results: Based on the analysis, a total of 32 policy recommendations were proposed across three domains: financial support, personnel and administrative support, and inter-provincial collaboration. The conclusion also offers suggestions for future policy directions to ensure the sustainable implementation of IB schools in South Korea.
Contributions: As a study aimed at providing policy recommendation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enhancing the practicality of policy implementation by presenting multifaceted support measures grounded in the realities and needs of the field. Furthermore, it holds significance as an exploratory study that lays the foundation for future academic discourse of the implementation of IB programmes in South Korea.
목차
Ⅰ. 들어가며
II. 시⋅도별 IB 학교 운영 및 지원 현황
III. 정책 제언
IV. 나아가며: 후속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