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몸느낌 관찰명상을 통한 중년여성의 성공적인 노화에 관한 연구
이용수 4
- 영문명
- A study on successful aging among middle-aged women through body sensation observation meditation
- 발행기관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 저자명
- 임금윤(명혜)
- 간행물 정보
-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33권, 89~10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몸느낌 관찰명상 참여 경험을 탐색하고, 성공적 노화를 위한 방법에 대한 기초 정보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여성의 노화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중년여성은 노화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 셋째, 중년여성은 몸느낌 관찰명상 참여를 통해 어떠한 변화를 경험하였는가?, 넷째, 중년여성의 몸느낌 관찰명상 참여 이후 세운 성공적인 노화 계획은 무엇인가?였다. 이를 위하여 몸느낌 관찰명상에 참여한 18명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고 합의적 질적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여성의 노화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2개 영역에서 7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중년여성의 노화에 대한 대처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3개 영역에서 6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셋째, 중년여성의 몸느낌 관찰명상 참여를 통한 변화 경험을 살펴본 결과, 2개 영역에서 8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넷째, 중년여성의 몸느낌 관찰명상 참여 이후 성공적인 노화 계획을 살펴본 결과, 3개 영역에서 1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중년 여성이 경험하는 노화, 노화에 대한 대처, 그 과정에서 몸느낌 명상의 역할에 대해서 확인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몸느낌 명상 활용을 통해 중년 여성의 성공적 노화를 돕기 위한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body feeling observation meditation targeting middle-aged women an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methods for successful aging.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middle-aged women’s perception of aging? Second, how do middle-aged women cope with aging? Third, what changes did middle-aged women experience through participation in body feeling observation meditation? Fourth, what is the successful aging plan that middle-aged women make after participating in body feeling observation meditation? For this purpos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8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body feeling observation meditation and analyze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middle-aged women’s perception of aging, seven categories were derived in two area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middle-aged women’s response to aging, six categories were derived in three area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middle-aged women’s experience of change through participation in body feeling observation meditation, eight categories were derived in two areas.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uccessful aging plan of middle-aged women after participating in body feeling observation meditation, 10 categories were derived in 3 area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onfirmed the aging experienced by middle-aged women, their coping with aging, and the role of body sensation meditation in that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ble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measures to help middle-aged women successfully age through the use of body sensation meditation.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육조 혜능대사 성지순례를 중심으로 한 순례명상 프로그램 참여 효과 연구: 자기자비, 마음챙김, 영성적 웰빙, 삶의 질을 중심으로
- 불신/학대 도식을 가진 중년 여성의 영상관법 치유 체험: 단일 사례 연구
- 명상과 카타르시스 경험의 통합: 감정 해방과 심리 메커니즘
- 워킹맘의 일-가정 갈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여가만족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 금강경 기도의 의미 탐색 연구: 월정사 금강경 봉찬기도 참여자를 중심으로
- 몸느낌 관찰명상을 통한 중년여성의 성공적인 노화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 2×2 모형 군집분석
- 주택수요자의 가격형성요인 인식이 주관적 삶의 질과 주거안정에 미치는 영향: 주택가격안정전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노인의 종교활동 참여가 죽음불안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