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명상과 카타르시스 경험의 통합: 감정 해방과 심리 메커니즘

이용수  0

영문명
Integration of meditation and cathartic experiences: Mechanisms of emotional release and psychological recovery
발행기관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저자명
김준희
간행물 정보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33권, 29~38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의 목적: 불교 전통의 ‘사띠(sati)’와 서양 철학의 ‘카타르시스(katharsis)’ 개념을 비교·검토함으로써, 부정적 감정 해소와 심리적 회복을 유도하는 통합적 접근법을 제시한다. 연구 대상: 불교 경전에 나타난 사띠 수행 방식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정치학』 등을 통해 드러나는 카타르시스 이론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 연구 방법: 문헌 분석을 통해 먼저 사띠와 카타르시스가 지닌 각각의 이론적 배경과 감정 관점을 살펴보고, 감정·인지·도덕성이 어떻게 연계되는지 비교한다. 이어 양자가 지닌 공통점과 차이를 토대로 명상적 실천과 예술적 표현의 결합 가능성을 탐색한다. 연구 결과: 사띠는 부정적 감정을 억누르지 않고 있는 그대로 관찰함으로써 희열이나 평정심과 같은 긍정적 마음 상태를 심화하고, 카타르시스는 예술을 통해 감정의 정화를 이끌어 이성과 도덕적 판단을 회복한다. 둘 다 감정의 ‘직접적 체험’과 ‘인지적 숙고’를 병행하여 부정적 심리문제를 해결하는 기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심리치료·교육·사회적 소통 등 다양한 영역에서도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By comparing and examining the concepts of sati in the Buddhist tradition and katharsis in Western philosophy, we propose an integrated approach to relieve negative emotions and induce psychological recovery. Object of study: The main object of analysis is the practice of sati in Buddhist scriptures and the theory of catharsis in Aristotle's Poetics and Politics. Metho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we first exa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emotional perspectives of sati and catharsis, respectively, and compare how emotion, cognition, and morality are linked. Then, based on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meditative practice and artistic expression (such as tragedy and music). Result: Sati deepens positive states of mind such as joy and equanimity by observing negative emotions as they are without suppressing them, while catharsis purifies emotions through art to restore reason and moral judgment. Both contribute to psychological liberation and maturity by combining ‘direct experience’ and ‘cognitive contemplation’ of emotions, suggesting that they can ultimately be utilized in various fields such as psychotherapy, education, and social communication.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감정의 해소: 명상과 카타르시스의 접점을 찾아서
III. 공감의 관점에서 본 명상과 카타르시스
IV. 결론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준희. (2025).명상과 카타르시스 경험의 통합: 감정 해방과 심리 메커니즘.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 29-38

MLA

김준희. "명상과 카타르시스 경험의 통합: 감정 해방과 심리 메커니즘."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2025): 29-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