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불신/학대 도식을 가진 중년 여성의 영상관법 치유 체험: 단일 사례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middle-aged woman with a distrust/abuse schema experienced a healing process using Reflected Image Meditation(RIM): A single case study
발행기관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저자명
이은주
간행물 정보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33권, 15~28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부적응 도시에 대한 영상관법 치유가 어떻게 성격에서 오는 고통을 소멸하고, 성격에 대한 통찰을 이끌어 내는지 연구 참여자의 체험 진술을 통해 보여주고자 함에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편 심리도식 검사와 역기능적 신념 검사의 사전 사후 검사 비교에서 사전 검사보다 사후 검사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낮게 나와 영상관법의 불신/학대 도시 치유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혼합형 영상관법 치유를 통해 감정을 해소하고 비합리적 신념으로부터 벗어나 미해결 문제를 해소하면서 자신의 여러 시절의 불신/학대 경험들이 현재의 성격을 만들었으며, 현 가족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음을 통찰하고, 새로운 행동을 계획하고 실천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의 논의점은 불신/학대 도시에 대한 영상관법의 치유의 효과성만 보여주었다는 점, 후속 연구를 통해 Young의 심상자극과 달리 영상관법만이 갖는 영적 성장의 면을 보여줘 차별점을 강화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있으며, 단일사례 연구라는 점에서 일반화에 한계점이 있다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rough the statement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how Reflected Image Meditation(RIM) therapy for early maladaptive schemas can relieve suffering from personality and lead to insight into persona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re- and post-test comparison of the study participants’ simple psychological schema test and dysfunctional belief test, the scores on the post-tes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n the pre-test, proving that the Reflected Image Meditation(RIM) is effective in healing distrust/abuse schemas. Secon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able to relieve their emotions, break free from irrational beliefs, and resolve unresolved issues through mixed Reflected Image Meditation(RIM) therapy. Thir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able to gain insight into how their childhood experiences of mistrust/abuse shaped their current personality and were the cause of current family conflicts, and were able to plan and implement new behaviors. The discussion point of this study is that although this study showed the healing effect of Reflected Image Meditation(RIM) on the distrust/abuse schema,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difference from the imagery work of schema therapy through follow-up research that shows the spiritual growth unique to Reflected Image Meditation(RIM) that finds one’s true nature by realizing the law of acting.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주. (2025).불신/학대 도식을 가진 중년 여성의 영상관법 치유 체험: 단일 사례 연구.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 15-28

MLA

이은주. "불신/학대 도식을 가진 중년 여성의 영상관법 치유 체험: 단일 사례 연구."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2025): 15-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