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영재(2e)의 진단 및 교육적 지원을 위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이용수 8
- 영문명
- Grounded Theory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in Identification and Educational Support for Twice-Exceptional(2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학습장애학회
- 저자명
- 조일석 나경은
- 간행물 정보
- 『학습장애연구』제22권 제1호, 25~5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장애영재에 대한 인식과 교육 경험을 확인하고 장애영재에 대한 이론을 탐색하여 추후 장애영재의 교육적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장애영재에 대하여 직간접적으로 경험이 있는 교사 11명이 참여하였다. 전사된 내용을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방법을 사용하여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개방코딩 과정을 통하여 총 76개의 개념과 33개의 하위범주, 13개의 범주가 확인되었다. 축코딩 결과 중심현상은 ‘장애학생이 가질 수 있는 영재성’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연구 참여자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탐색의 단계’, ‘인식의 단계’, ‘행동의 단계’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영재에 대한 인식 향상과 지원 방향 탐구’라는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적극탐색형’, ‘선택접근형’, ‘통합추구형’, ‘소극인식형’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아직 국내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장애영재에 대한 인식이 확산하여 장애영재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erceptions and educational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twice-exceptional(2e) students, as well as related theorie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supporting the educational needs of 2e students in the futur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1 teachers who had direct or indirect experience with 2e students.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were performed using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method. Through the open coding process, a total of 76 concepts, 33 subcategories, and 13 categories were identified. The axial coding results revealed the central phenomenon as ‘Giftedness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Can Have.’ Based on this process, participants appeared to experience stages of ‘Exploration,’ ‘Awareness,’ and ‘Action’ over time. Additionally,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Active Explorers,’ ‘Selective Approachers,’ ‘Integration Seekers,’ and ‘Passive Perceivers’ around the core category of ‘Exploring Improved Awareness and Support for Twice-Exceptional Students.’ Through this, I hope to raise awareness of 2e students, a concept that is still not widely recognized in Korea, and contribute to enhancing social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this group.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중학교 학습장애 및 경계선 지능 동반 학생 출현율 및 특성
- 장애영재(2e)의 진단 및 교육적 지원을 위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 대상 수학중재효과 메타분석: 학습 및 정서를 중심으로
- 교육사각지대학습자 학업상담에서 상담사의 개입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AI(인공지능)는 어떻게 학습장애 아동의 읽기이해를 진단하는가?: 초등학생 맞춤형 인지진단모형(CDM)의 적용과 타당화
- 한글파닉스 기법을 활용한 중재 연구 동향 분석: 2011~2024년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 초등학교 읽기곤란 다문화 학생 맞춤형 읽기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서울 4년제 대학생의 법학전문대학원 진학 준비 경험과 계층 불평등
-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마을교육공동체 발달 모형 개발
- 교육사회학연구에 게재된 질적연구 논문동향 분석(1990-2023)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