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건강과 치료 관련 음악 기술 특허 동향 분석과 음악치료 영역에서의 시사점
이용수 0
- 영문명
- Music Technology Patent Trends in Health and Therapy in Korea and Implications for the Music Therapy Field
- 발행기관
- 한국음악치료학회
- 저자명
- 이희진 황은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음악치료학회지』제27권 제1호, 119~14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건강과 치료 관련 음악 기술 특허의 동향분석을 통해 향후 건강과 치료를 위해 음악을 적용한 프로그램과 기술개발을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음악치료 영역의 발전에 도움을 주고자한다. 연구방법은 특허정보검색서비스인 키프리스(KIPRIS)에 등록된 건강과 치료 관련 음악 기술 특허를 대상으로 출원상태, 국제특허분류와 분류별 세부내용, 특허 내용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과 치료 관련 음악 기술 특허로 등록 또는 공개된 특허는 총 25건이며, 2010년에 첫 출원 이후 매년 1건 정도 출원되었는데, 2020년에는 5건으로 가장 많은 출원이 되었고 연간 평균 3건 정도 출원이 되고 있다. 둘째, 국제특허분류에 따라 세부 분석한 결과, A61(52.94%), G06(13.24%), G16(10.29%), G06(7.35%) 코드의 순으로 특허 출원이 많았다. 마지막으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주로 대상을 언급하지 않은 특허 출원이 많았으며, 심리 ․ 정서와 신체를 대상으로 한 기술개발 출원이 많았다. 특허 기술에 적용된 음악활동은 감상활동이 가장 많았고, 주로 프로그램 형태의 출원이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해 건강과 치료 관련 음악 기술의 개발 활성화와 이를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ctivate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technologies that apply music for health and therapy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trends of health and therapy related music technology patents in Korea,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of music therapy. The research method was to analyze the application status,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IPC) code and its detailed description, and content of health and therapy related music technology patents registered in Korea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formation Service (KIPRIS), a patent information search servi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25 patents have been registered or published as health and therapy related music technology patents, and since the first application in 2010, about one patent has been filed each year, with the highest number of applications in 2020 at 5, and an average of about 3 applications per year. Second, a detailed analysis by the IPC code shows that patent applications were filed mostly under the following order: A61(52.94%), G06(13.24%), G16 (10.29%), and G06(7.35%). Finally, we analyzed the content of the patent applications and found that there were mainly patent applications that did not mention a target, and there were many applications for technology development targeting the mind/emotions and the body. The most common music activity applied was listening, and there were mainly applications for program technology development.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stimulate the development of music technologies related to health and therapy, and enable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that can be applied in clinical practice.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