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악기연주 음악치료 활동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재한 몽골 아동을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The Effects of Musical Instrument Playing Music Therapy Activities on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cused on Mongolian Student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음악치료학회
저자명
김미희 문지영
간행물 정보
『한국음악치료학회지』제27권 제1호, 79~9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악기연주 음악치료 활동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된 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G구 소재 재한몽골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4~5학년 다문화가정 아동 61명으로, 실험집단 32명과 통제집단 29명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은 주 2~3회, 회기당 40분씩 총 14회기의 악기연주 음악치료 활동에 참여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어떠한 중재도 제공되지 않았다. 검사 도구로는 악기연주 음악치료 활동 전 · 후에 자기효능감 척도와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두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증을 실시한 후, 집단 간 비교에서는 독립표본 t-검정과 공분산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집단 내 비교에서는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은 자기효능감 전체와 하위 요인인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 난이도 선호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공분산분석 결과, 모든 하위요인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학교생활적응 전체와 하위 요인인 학교에 대한 흥미, 학교 수업, 교사 관계에서도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냈으며, 사후 공분산분석 결과 모든 하위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악기연주 음악치료 활동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중재 도구임을 시사하며, 특히 재한 몽골 아동의 심리적 및 사회적 지원 방안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musical instrument-based music therapy activities on the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61 multicultural children in grades 4~5 attending a Mongolian school located in Seoul, Korea,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n=32) and a control group(n=29).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14 sessions of musical instrument-based music therapy activities, conducted 2~3 times a week for 40 minutes per session,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intervention. The self-efficacy scale and school adjustment scale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Data analysis included tests for homogeneity between groups prior to the intervention. Independent t-tests and ANCOVA were used for group comparisons, and paired t-tests were used for within-group comparis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overall self-efficacy and its subdomains, including self-regulation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ANCOVA results also confirm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all subdomains. Second,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observed in overall school adjustment and its subdomains, including interest in school, schoolwork, and teacher relationships. Postintervention ANCOVA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ross all subdomai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usical instrument-based music therapy activities are an effective intervention tool for enhancing the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urthermore, the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of such interventions as a psychological and social support strategy, particularly for Mongolian children residing in Korea.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희,문지영. (2025).악기연주 음악치료 활동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재한 몽골 아동을 중심으로. 한국음악치료학회지, 27 (1), 79-96

MLA

김미희,문지영. "악기연주 음악치료 활동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재한 몽골 아동을 중심으로." 한국음악치료학회지, 27.1(2025): 79-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