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함께돌봄과 교육이 공존하는 마을교육공동체: 송산초등학교의 여순 10·19 마을교육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자료집』2025년 춘계학술대회, 107~13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26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마을교육공동체 안에서 지역의 사회적 자본을 활용한 마을교육과정의 교육적 의미를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드러내고 이를 트론토의 함께돌봄을 중심으로 해석함으로써 함께돌봄과 교육의 상호보완성을 이해하려는 한 시도이다. 이는 마을교육과정에 참여한 교육 주체들이 마을이라는 장소에서 관계를 형성하고 협업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배운 것은 무엇이었는지 이 과정에서 이들은 어떻게 함께돌봄이라는 관계망을 형성할 수 있었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어떻게 교육적 의미를 증폭할 수 있었는지를 이해하고 하였다. 연구 결과, 마을교육과정에 참여한 교육주체자들은 마을교육공동체를 통해 지역의 사회적 자원을 지원받을 수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여순 1019 사건 유가족의 아픔을 이해하고 이들을 돌보려는 태도가 성장하게 되었다. 더불어 이들의 이러한 변화는 담임과 감독, 마을활동가의 상호신뢰와 협업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마을교육공동체 안에서 교육이 함께돌봄이라는 관계망 안에서 교육 주체들이 상호연결되어 진행된다면 교육과 돌봄의 분절효과는 줄어들 것이며 평화적이고 인권을 존중하는 교육의 배움터를 새롭게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희망한다.
영문 초록
목차
I . 문제제기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사의 교직이탈에 대한 질적연구: 저경력 초등교사를 중심으로
- 한국의 교사는 왜 우울한가?
- 경계선지능 학습자의 사회적 구성과 실천: 동적 유명론을 동한 학습자 분류의 교육사회학적 고찰
- 사회자본의 경계: 징벌적 제재로서의 따돌림 행동과 도덕적 정당화로서의 폭력적 행동
- 마을교육공동체의 연결 구조와 행위자 분석: 해밀교육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 함께돌봄과 교육이 공존하는 마을교육공동체: 송산초등학교의 여순 10·19 마을교육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 대입전형이 취업에 미치는 효과 분석
- 사회과학에서 연구윤리에의 접근
- 대학 진학 선택의 불평등 실태: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 와 2013 비교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구성된 감정 이론(F. Barrett)의 교육적 의미 성찰
- 사회자본의 경계: 징벌적 제재로서의 따돌림 행동과 도덕적 정당화로서의 폭력적 행동
- 마을교육공동체의 연결 구조와 행위자 분석: 해밀교육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