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문학 분야에서의 인공지능 연구 동향: LDA와 BERTopic 기반 토픽 모델링 접근
이용수 19
- 영문명
- Trends in AI Research in the Field of Humanities: A Topic Modeling Approach Using LDA, BERTopic
- 발행기관
- 통섭인문학회
- 저자명
- 최슬기
- 간행물 정보
- 『통섭인문학』제3권 제3호, 79~8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의 발전은 언어, 예술, 교육 등 인문학 전반에 걸쳐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확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문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인공지능 관련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자,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수집한 1,557건의 국문 초록 데이터를 대상으로 토픽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분석에는 전통적인 확률 기반 모델인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와 최신 임베딩 기반 모델인 BERTopic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윤리, 교육, 종교, 문화 등의 주제가 양 모델 모두에서 핵심적으로 도출되었으며, BERTopic은 문맥 기반 분석을 통해 보다 정교한 주제 구분이 가능함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술이 인문학적 담론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탐색함으로써, AI 시대에서 인문학이 수행할 수 있는 역할을 조망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Recent advancements in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broadened the application of AI in various areas of the humanities, including language, the arts, and education. This study explores research trends in artificial intelligence within the humanities by applying topic modeling to 1,557 Korean abstracts collected from the RIS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database. Two modeling techniques were employed: the traditional probabilistic method,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and the neural embedding-based method, BERTopic. The results indicate that key themes such as ethics, education, religion, and culture were commonly identified by both models. BERTopic, in particular, revealed more fine-grained topic differentiation through its context-aware clustering approach. This study highlights the increasing integ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to humanities research and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evolving role of the humanities in the era of AI.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선행 연구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olicy Recommendation from Electricity Consumption on Stock Market Performance: An Analysis of South Korea's Service Industry
- 인문학 분야에서의 인공지능 연구 동향: LDA와 BERTopic 기반 토픽 모델링 접근
- 모국어와 제2언어가 제3언어의 통사습득에 미치는 영향: 영어의 관계절과 Wh-의문문 연구
- 고령화 노동력이 한국의 노동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의 정량적 분석
- Branch Campuses and Higher Education Governance: The State of Literature
- 『日本及日本人』으로 본 전후 일본의 평화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