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별에 따른 학령기 아동의 또래애착 유형 및 예측변인: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이용하여
이용수 59
- 영문명
- Gender-Based Predictors of Peer Attachment Types in School-Aged Children: A Latent Profile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보육지원학회
- 저자명
- 강수현
- 간행물 정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제21권 제2호, 93~11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classification of peer attachment among school-aged boys and girls and analyzed how pragmatic language, media overdependence,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predict peer attachment latent groups.
Methods: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11th Korean Children's Panel Survey, including a sample of 604 children.
Results: Peer attachment among school-aged boys and girls was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groups. For both genders, higher pragmatic language skills increas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high communication trust-low alienation group. Among boys, lower pragmatic language skills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being in the low communication trust-high alienation group. Media overdependence at a potential or high-risk level decreased the likelihood of boys belonging to the low communication trust-high alienation group but increased it for girls. Higher teacher-child conflict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being in the low communication trust-high alienation group for both boys and girls, while greater teacher-child intimacy increased the likelihood of boys belonging to the high communication trust-low alienation group.
Conclusion/Implications: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enhance peer attachment in school-aged children should account for gender differences and provide practical strategies to support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effectively.
영문 초록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교육 부담감과 아동의 학업 스트레스: 사교육 효과 인식의 매개 역할
- 성별에 따른 학령기 아동의 또래애착 유형 및 예측변인: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이용하여
- 영유아 교사의 부모와의 의사소통 어려움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 영유아 놀이에서 교사의 역할과 지원 경험에 대한 연구
- 팅커링 중심 STEAM 프로그램이 3세 유아의 창의적 인성, 놀이성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 어린이집 유아교사의 놀이-배움 잇기를 위한 기록 실천 개선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직업정체성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 어머니의 퍼빙이 유아기 자녀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보육교사의 정신화가 놀이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영유아보육법에 따른 보육교사의 권리 분석 및 권리 인식과 전문성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자기수용 척도 개발을 위한 이론적 개념 형성과 확장 : 칼 로저스의 인본주의 성격 이론에 기초한 접근
- 사회복지상담과 불교철학의 융합 가능성 :이론·실천의 통합을 위한 개입 모형 제안
-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접근의 개념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