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머니의 퍼빙이 유아기 자녀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이용수 23
- 영문명
- The Effect of Maternal Phubbing on Children’s Self-Regulation: The Mediating Role of Mother-Child Interactions
- 발행기관
- 한국보육지원학회
- 저자명
- 전예림 최미경
- 간행물 정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제21권 제2호, 199~22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mothers’ phubbing on motherchild interactions and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while accounting for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the child’s gender and age, as well as the mother’s employment status. Additionally, the study explores whether mother-child interaction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hubbing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00 mothers of children aged 3 to 5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one-way ANOVA, and mediation analysis employing Hayes' PROCESS Macro(Version 4.2).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were observed based on gender and age. Girls demonstrated stronger self-regulation, and younger children experienced more responsive interactions with their mothers. Additionally, children of non-working mothers exhibited higher levels of self-evaluation and self-determination. The findings also confirmed that maternal phubbing negatively impacts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by weakening mother-child interactions.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reducing maternal phubbing can enhance mother-child interactions and positive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This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for parental counseling and intervention programs aimed at supporting optimal developmental outcomes in early childhood.
영문 초록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교육 부담감과 아동의 학업 스트레스: 사교육 효과 인식의 매개 역할
- 성별에 따른 학령기 아동의 또래애착 유형 및 예측변인: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이용하여
- 영유아 교사의 부모와의 의사소통 어려움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 영유아 놀이에서 교사의 역할과 지원 경험에 대한 연구
- 팅커링 중심 STEAM 프로그램이 3세 유아의 창의적 인성, 놀이성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 어린이집 유아교사의 놀이-배움 잇기를 위한 기록 실천 개선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직업정체성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 어머니의 퍼빙이 유아기 자녀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보육교사의 정신화가 놀이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영유아보육법에 따른 보육교사의 권리 분석 및 권리 인식과 전문성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