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술교육과 학생들의 ‘창의공학설계’ 수업에 대한 융합 교육 효과 및 인식 분석: A 대학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the Effects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Perceptions in ‘Creative Engineering Design’ Class for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Students -Focusing on University A-
발행기관
한국기술교육학회
저자명
김성일 김갑순
간행물 정보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25권 제1호, 93~11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교육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창의공학설계 수업 절차 및 내용, 융합 교육 효과 및 인식을 분석하여 대학 과정이나 고등학교의 창의공학설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융합 교육 수업 설계 능력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22매의 설문지는 통계프로그램(SPSS 22)으로 분석하였으며, 이 연구를 종합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공학설계 수업 전과 수업 후의 융합교육 효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수업 전 융합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중간 정도였으나(M=3.50), 수업 후 만족도는 많이 향상(M=4.42)되었다. 이는 창의공학설계 아이디어 구상과 작품을 제작하면서 기술교육 전공 간, 타 교과 간 융합교육(STEAM)이 필요하였고, 융합 교육을 통해 작품을 완성하였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둘째, 창의공학설계 수업 절차 및 내용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은 전체적으로 높은 편(M=4.55)이다. 이는 모둠으로 협동학습하여 진행하였으므로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되고, 아이디어 구상과 제작 단계에서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또한 대학생들은 작품 제작 과정 전체를 경험하였으므로 기술교사가 되었을 때 제작 경험이 수업 설계 능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셋째, 창의공학설계 수업에서 제품 제작에 대한 인식(성취감, 흥미도, 만족도) 응답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높은 만족도(M=4.62)를 보였다. 이는 아이디어 구상에 활용한 ‘사용자 요구 확인’과 평가 준거 작성, 특허 검색 및 선행기술조사, 모둠 협동학습과 문제해결활동을 통해 구상한 작품을 제작한 후 발표 및 전시회(포트폴리오와 UCC), 창업아이디어 경진대회 참여 등 많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학생들은 흥미도, 성취감, 만족도가 높았을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창의공학설계’ 수업은 ‘사용자 요구 확인’을 바탕으로 구상한 아이디어로 작품을 제작해 봄으로써 융합 교육 효과를 경험하였고,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사소통능력도 향상될 수 있는 만족도가 높은 교육이었다고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f the Effects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Perceptions in ‘Creative Engineering Design’ Class for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Students. The 22 questionnaires are analyzed by a statistical program(SPSS ver. 22), an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of convergence education before and after the creative engineering design class. This is because the idea conception and production process is completed by utilizing between technology education and other subjects(STEAM). Second, the students’ perception (satisfaction) with the ‘creative engineering design’ class procedures and contents is high (M=4.55). Thir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erceptions(sense of accomplishment, interest, and satisfaction) of product manufacturing in the creative engineering design class shows an overall high level of satisfaction (M=4.62).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일,김갑순. (2025).기술교육과 학생들의 ‘창의공학설계’ 수업에 대한 융합 교육 효과 및 인식 분석: A 대학을 중심으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25 (1), 93-114

MLA

김성일,김갑순. "기술교육과 학생들의 ‘창의공학설계’ 수업에 대한 융합 교육 효과 및 인식 분석: A 대학을 중심으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25.1(2025): 93-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