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가정 병행 여성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태도 및 딸의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모녀미술치료 사례

이용수  93

영문명
A Case Study on Mother-Daughter Art Therapy for Reducing Parenting Stress, Improving Parenting Attitudes, and Addressing Daughter's Behavioral Problems in a Working Mother
발행기관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저자명
김도희 전영희
간행물 정보
『예술심리치료연구』제21권 제1호, 93~12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직장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 태도, 자녀의 문제행동에 대한 모녀미술치료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41세의 프리랜서 직장인 어머니와 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그녀의 딸이며, 매주 70분씩 총 20회기의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중재 전후로 양육 스트레스 척도(K PSI 4), 양육태도 척도(PAT), 문제행동 척도(K CBCL)를 실시하여 그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녀의 과민한 기분과 낮은 유능감과 관련된 어머니의 스트레스는 임상 범위에서 정상 범위로 개선되었다. 또한, 양육 태도 측면에서 바람직한 수준 이하로 평가되었던 지지 표현과 합리적 설명이 건강하다고 여겨지는 범위로 개선되었다. 한편, 과도한 것으로 평가되었던 성취 압력, 간섭, 처벌, 과잉기대, 비일관성 요인은 바람직하고 건강한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딸의 외현화 문제행동 역시 임상 범위에서 정상 범위로 개선되었다. 치료 과정에서 관찰된 어머니의 의사소통 방식은 통제적이고 비판적인 것에서 보다 지지적이고 공감적인 상호작용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미술치료가 일과 가정을 병행하는 어머니의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건강한 양육 태도를 형성하도록 도우며 자녀의 외현화 행동을 조절하도록 돕는 데 효과적인 중재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other daughter art therapy on a working mother's parenting stress, parenting attitudes, and her child’s problem behaviors. The participants were a 41 year old freelance working mother and her first grade daughter, who participated in 20 weekly sessions of art therapy lasting 70 minutes each. The Parenting Stress Index, Parenting Attitude Test, and Child Behavior Checklist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ther’s stress associated with her daughter’s irritability and her own low sense of competence decreased from clinical to normal ranges. In terms of parenting attitudes, subscales such as supportive expression and rational explanation, which had initially scored below desirable levels, improved to ranges considered healthy. Meanwhile, factors that were previously excessive achievement pressure, interference, punishment, excessive expectations, and inconsistency shifted toward more appropriate levels for effective parenting, and the daughter’s externalizing behaviors also moved from clinical to normal ranges. Over the course of therapy, the mother’s communication style evolved from controlling and critical to more supportive and empathetic interaction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art therapy is effective in reducing parenting stress, improving parenting attitudes, and mitigating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s, particularly for mothers balancing work and family demands.

목차

Ⅰ. 서 론
Ⅱ. 방 법
Ⅲ. 결 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도희,전영희. (2025).일-가정 병행 여성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태도 및 딸의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모녀미술치료 사례. 예술심리치료연구, 21 (1), 93-123

MLA

김도희,전영희. "일-가정 병행 여성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태도 및 딸의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모녀미술치료 사례." 예술심리치료연구, 21.1(2025): 93-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