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악중심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83

영문명
The Effec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Centered Group Music Therapy Program on Sociality and Ego-Resilienc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발행기관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저자명
박정은 이형환
간행물 정보
『예술심리치료연구』제21권 제1호, 29~5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악중심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과 자아탄력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P시에 다문화가정 아동 26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13명씩 무선배치 하였다. 본 연구자가 개발한 국악중심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게 주 5회 회기당 60분씩 총 18회기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회성과 자아탄력성척도로 변화를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두 집단의 사전검사 결과를 공변인으로 통제하여 공분산분석 (ANCOVA)과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관찰기록과 관찰자 심층면접을 근거로 사회성 및 자아탄력성에 변화과정을 질적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중심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총점과 하위영역인 대인관계, 협력성, 사교성에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국악중심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탄력성 총점 뿐 아니라 하위영역 중 흥미와 관심, 감정조절, 긍정적 미래지향성에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국악중심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과 자아탄력성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정서적인 안정과 심리적 회복에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영문 초록

The primary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effec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entered group music therapy program on improving sociality and ego resilienc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P city, Gyeonggi do, who were randomly assigned with 13 children each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centered group music therapy program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as condu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for a total of 18 sessions, 5 times per week, 60 minutes per session, and changes in sociality and ego resilience scales were measur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WIN 26.0 program, performing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ith the pre test results of both groups controlled as covariates, and paired sample t test. Qualitative analysis of changes in sociality and ego resilience was performed based on observation records and observer in depth interview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centered group music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total score of sociality and its sub domain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operation, and sociabil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centered group music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not only in the total score of ego resilience but also in the sub domains of interest and attention, emotion regulation, and positive future orientation. From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proven that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centered group music therapy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sociality and ego resilienc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was effective for emotional stability and psychological recover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은,이형환. (2025).국악중심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예술심리치료연구, 21 (1), 29-50

MLA

박정은,이형환. "국악중심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예술심리치료연구, 21.1(2025): 29-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