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만성 정신질환자 대상 보건소 사례관리 사업의 종단적 효과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Longitudinal Effect of Case Management: Retrospective Analysis of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Registered at a Public Health Center
- 발행기관
- 한국농촌간호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농촌간호학회지』제20권 제1호, 1~1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valuates the longitudinal effectiveness of a case management program for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Methods: Data from 509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who underwent case management at a public health center over a 10-year period, starting in 2010,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Results: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women (54.8%), had a mean age of 65.2 years, had less than a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47.0%), and were unemployed (62.5%). In the outcome evaluation, global functioning significantly improved from 62.39±6.87 at enrollment to 68.45±5.06 in the seventh year. Mental statu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21.87±6.87 at enrollment to 20.51±6.76 in the second year.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8.96±3.69 at enrollment to 6.36±3.62 in the second year. Self-reported depression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6.09±8.49 at enrollment to 12.08±7.29 in the second year. Suicidal ide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6.83±6.61 at enrollment to 4.63±5.04 in the second year.
Most variables did not significantly improve after two years but did not worsen. Conclusion: Evidence suggests that mental health case manage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global functioning,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community-dwelling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and, therefore, should be scaled up.
영문 초록
목차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만성 정신질환자 대상 보건소 사례관리 사업의 종단적 효과분석
- 노인 대상 비대면 건강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체계적문헌고찰과 메타분석
- 자살에 대한 태도와 자살 행동에 대한 위험 요인 분석: Y시 정신건강실태 조사 활용
- 부인암 생존자의 하지 림프부종 적응 경험
- 의료취약 농촌 지역 노인을 위한 보건진료소 일차보건의료서비스 제공 사례: 마을회관 군과 가정방문 군 중심으로
- 보건진료 전담공무원 전수자료를 활용한 근무 경력에 따른 직무 역량과 필요 역량 간 차이 분석
-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mong Rural Korean Adults: Analysis of the 2022 KNHANES
- 농어촌 일차의료에서 전문간호사의 활용: 미국, 캐나다, 호주, 영국 사례의 시사점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한국농촌간호학회지 게재논문의 연구동향 분석(2006~2024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