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의 이야기 만들기 과정에서 교사가 구성한 딜레마와 배움

이용수  11

영문명
A Teacher’s Dilemmas and Pedagogical Approaches in the Context of Young Children’s Storytelling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이지은 최연철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27권 제4호, 1~3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유아의 이야기 만들기 과정에서 교사가 구성한 딜레마와 배움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자문화기술지다. 연구자는 유아들이 자유롭게 이야기 만드는 과정을 참여 관찰하는 동안 다양한 내적 갈등을 겪었다. 연구자가 교사로서 경험한 내적 갈등은 다음과 같다. ‘유아가 이야기 만들어 보는 과정 자체에 의의를 두어야 할까, 아니면 그럴듯한 이야기 결과물을 생성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야 할까?’, ‘독자 유아가 또래 유아의 이야기에 대한 의문이 생겼을 때, 이를 마음껏 표현할 수 있도록 허용해 주어야 할까, 아니면 작가 유아를 존중하여 또래 유아의 이야기를 조용히 경청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까?’, ‘되도록 이야기를 혼자 만들도록 해야 할까, 아니면 이야기 주인이 불분명하더라도 또래 유아와 함께 이야기 만들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할까?’, ‘흥미 요소만을 나열해 만든 이야기라도 유아가 즐거워하면 괜찮은 걸까, 아니면 앞뒤 맥락이 자연스러운 이야기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까?’. 이처럼 어지럽게 펼쳐져 있던 내적 갈등과 고민은 수집한 자료를 텍스트화하고, 반복해서 읽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비로소 ‘과정과 결과’, ‘의문과 경청’, ‘개인과 공동체’, ‘흥미와 맥락’이라는 딜레마로 정리되었다. 각각의 딜레마는 둘 중 하나의 가치를 택일하거나 외부의 지향점으로 나아가기 위함이 아니라 여러 가치가 충돌, 보완의 관계를 맺고 있음으로써 의미 있었다(Bateson, 1972; Dewey, 1916). 이처럼 ‘만들어지는 딜레마’는 교육 현장에서 수많은 내적 갈등을 경험하는 교사가 실천적 지식을 형성해 나가는 잠재적 ‘-되기’ 존재라는 점을 시사해 주었다. This autoethnographic study explores the dilemmas and learning experiences of a teacher during young children’s storytelling processes. While observing children’s spontaneous storytelling, the researcher faced various internal conflicts such as: Should emphasis be placed on the process of storytelling or producing a coherent narrative? Should children freely question a peer’s story or quietly listen out of respect? Should individual storytelling be prioritized, or should collaborative storytelling be encouraged despite unclear authorship? and Is an entertaining but incoherent story acceptable, or should guidance ensure narrative coherence? Through data analysis involving repeated readings and categorization, these conflicts were framed as the following dilemmas: ‘process vs. outcome,’ ‘inquiry vs. listening,’ ‘individual vs. community,’ and ‘interest vs. context.’ Each dilemma was meaningful not because it required choosing between two values or striving toward an external goal, but because multiple values were in a state of conflict and mutual complementarity (Bateson, 1972; Dewey, 1916). The concept of ‘constructed dilemmas’ suggests that teachers, facing numerous internal conflicts in educational settings, embody a state of ‘becoming’ as they shape and cultivate practical knowledge.

영문 초록

목차

1. 딜레마로 ‘들어가며’
2. 연구 방법
3. 물질적-담론적 실천을 통해 ‘만들어진’ 딜레마
4. 딜레마에서 배움으로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은,최연철. (2024).유아의 이야기 만들기 과정에서 교사가 구성한 딜레마와 배움. 교육인류학연구, 27 (4), 1-32

MLA

이지은,최연철. "유아의 이야기 만들기 과정에서 교사가 구성한 딜레마와 배움." 교육인류학연구, 27.4(2024): 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