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스마일 디자인(digital smile design): 최근 치과 분야의 새로운 심미 접근법
이용수 8
- 영문명
- Digital smile design: a new aesthetic approach in dentistry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두개안면기형연구소
- 저자명
- Jong Eun Kim
- 간행물 정보
- 『연세임상교정』제31권 제2호, 145~149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치과 치료의 전반적인 패러다임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디지털 스마일 디자인(digital smile design, DSD)은 환자의 심미적인 요구와 기능적인 개선을 동시에 충족시키기 위해 개발된 기법입니다. 환자의 얼굴 사진을 이용하여 수동적인 방식으로 치아 배열의 전반적 조화를 찾던 것이, 최근에는 다양한 회사에서 개발된 전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해당 과정을 진행할 수 있게 되었고, 심미 치과 치료에서 임상가들에게 점점 더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디지털 스마일 디자인의 정의, 특징, 적용 과정, 장점,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기술해 보고자 합니다.
영문 초록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revolutionized the paradigm of dental treatment. Among these innovations, Digital Smile Design (DSD) has emerged as a technique designed to simultaneously meet patients' aesthetic demands and functional improvements. Previously, tooth alignment for overall harmony was manually achieved using facial photographs. Today, specialized software developed by various companies facilitates this process, making it increasingly popular among clinicians for aesthetic dental treatments. This article discusses the definitions, features, application processes, benefits, and prospects of digital smile designs.
목차
디지털 스마일 디자인의 정의와 필요성
디지털 스마일 디자인의 특징
디지털 스마일 디자인의 적용 과정
디지털 스마일 디자인의 장점
디지털 스마일 디자인의 한계와 미래 전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Minimally invasive immediate implantation in the anterior region affected by aggressive periodontitis: two case reports
- Implant fractures to failures – case report series
- Melittin inhibits MPP+-induced HT22 cell death by suppressing Bax activation and improving mitochondrial func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