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갈등과 사회적 관계의 사회화: 미국과 한국 유아교육 기관의 갈등사회화 관습 비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2

영문명
Learning to Manage Conflicts in Two Cultures: A Comparison of Conflict Socialization Practices of the U.S. and Korean Preschools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안준희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24권 제1호, 65~9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미국과 한국의 유아교육 기관에서 실천되는 갈등사회화 관습을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이에 투영된 두 사회의 문화특수적 사회관계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두 문화의 갈등사회화 관습은 교사의 갈등에 대한 태도, 역할, 개입 빈도, 갈등의 책임을 다루는 방식, 그리고 갈등을 둘러싼 행동의 의도와 감정이 형상화되는 방식에 있어 문화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의 갈등사회화 관습은 교사의 적극적 개입과 중재자로서의 역할, 가해자와 피해자의 구체화, 갈등에 있어서 감정의 중요성, 한국의 사회화 관습은 교사의 무개입, 갈등의 책임을 갈등 당사자 공동에게 부여하는 방식, 갈등에 있어서 의도의 중요성을 각각 특성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은 이러한 문화적 차이를 두 문화에서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사회적 관계, 사회성, 공동체의 특성과 연계하여 분석, 논의한다. This paper comparatively analyzes teachers’ involvement with peer conflict in preschool classrooms of the U.S. and Korea to illuminate culturally specific ways of conflict management in the two cultures. The analysis of conflict discourses shows that conflict management practices of two cultures differ in terms of teachers’ attitude toward conflict and their roles in conflict management and the ways responsibilities, intentionalities, and feelings involving conflicts are dealt with. The conflict socialization practices of the U.S. are characterized by teachers’ active intervention in children’s conflicts as mediators, the specification of the offender and the victim, and the importance of feelings in conflicts, whereas the Korean ones are featured by teachers’ non-intervention tendency, the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to all parties involved in conflicts, and the significance of intentionality. The paper contends that children, through participation in conflict management practices, not only learn culturally specific ways of carrying out, managing, and resolving conflict, but are also socialized into societal values of social relationships, social and moral order, and socialities.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연구 대상 및 방법
3. 갈등사회화 관습의 문화적 구성과 실천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준희. (2021).갈등과 사회적 관계의 사회화: 미국과 한국 유아교육 기관의 갈등사회화 관습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24 (1), 65-96

MLA

안준희. "갈등과 사회적 관계의 사회화: 미국과 한국 유아교육 기관의 갈등사회화 관습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24.1(2021): 65-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